earticle

논문검색

여성의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이 여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Femal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홍상욱, 조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ata collected from 415 women including general housewiv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arson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independence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isure quality of lif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 centers on the influence variables on quality of life, in Model 1,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income, participation in cultural centers, and employment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3%. In Model 2,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status, incom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tal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43%, indicating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relatively strong influence. In Model 3, marital status, incom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elf-efficacy,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51%. Theref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greatest in enhancing the leisure quality of life in women,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next, so the intention to improve the meaning and satisfaction of women's lives, the effort to change, and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to create income will be need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이 여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20대에서 6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15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질 변인의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각 변인들은 각각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이 여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모형1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투입한 결과, 수입, 문화센터참여 여부, 취업유무 변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전체 설명력은 13%로 나타났다. 모형2에서는 기존의사회인구학적 변인에 감성지능을 추가로 투입했다. 그 결과 결혼여부, 수입, 감성지능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전체 설명력은 43%로 증가하여 감성지능의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3에서는 모형2의 변인들과 함께 추가로 자기효능감을 투입한 결과 결혼여부, 수입,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51%로 증가(감성지능 β=.37, 자기효능감 β=.36) 하였다. 따라서 여성의 여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감성지능의 상대적 영향력이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들의여가적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감성지능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와더불어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사회적 여건의 조성을 통한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감성지능
  2. 자기효능감
  3. 여가적 삶의 질
 Ⅲ. 연구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사회인구학적 특성
  2.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여가적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
  3. 감성지능과 자기효능감이 여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상욱 Hong, Sang-Ook.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족주거학과 교수
  • 조현주 Cho, Hyun-Ju. 영남대학교 대학원 한국여성리더십학과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