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험지각 조절효과를 통한 관광목적지이미지와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

원문정보

The Effect of Destination Image on the Tourist Visitation by Risk Perception

박소진, 양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risk perception on intention of visit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of risk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intention of visit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and then the hypotheses were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as follows: first, the tourism destination image influenced on intention of visitation in a positive way. Second, the risk perception had a partial direct effect negatively as well as th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 and intention of visitation.

한국어

본 연구목적은 자연현상으로 인한 위험지각이 관광목적지이미지 방문의도에 미치는영향에서 위험지각의 효과를 검증해보자 하였다. 일본대지진 관련 방사능 유출현상을위험인식을 연구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목적지이미지가 방문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위험인식 또한 방문의도에 있어 유의한 변수임을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위험인식은 관광목적지이미지와 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한다는 것과 방문경험 유무에 따라 위험인식에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도 알 수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광목적지이미지는 관광목적지에 대해 잠재관광객이 가지는 태도로써 위험상황에서도 쉽게 변하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에서는 위험관리 사전에 지속적으로 관광목적지이미지 구축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관광업체는 현재 국내·외 관광 전반에 걸쳐 이슈화가 되고 있는 위기상황이라든가, 앞으로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곳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통해 관광객들이 불안해하는 요소들을 인지시켜 주고 대체목적지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안심시켜줄 수 있는 대안저 관광활동의제시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관광목적지이미지
  2. 위험지각
 Ⅲ. 연구방법
  1. 연구조사방법
  2. 가설 설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Ⅳ. 연구 결과
  1. 인구 통계학적 특성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 가설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진 Park, So-Jin. 부산관광공사 대리
  • 양위주 Yhang, Wii-Joo.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관광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