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Private Security Officer’ Actual Condition of First-Aid Education
초록
영어
Since the establishment of Security Business Act in 1976, the Korean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rapidly grown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In the circumstance, various roles of private security guards have been demanded. A private security guard as the first contactor of the users of multi-use facilities should first find an accident field situation and make a response when an accident occurs, and should give first aid as most as possible until emergency medical workers arrive. However, there is a lack of first-aid education for the private security guard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facility us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find how many times private security guards have job and first-aid education, and analyze how the education count influences their first-aid ability; secondly to analyze how private security guards' satisfaction with first-aid education influences their first-aid abilit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first-aid ability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For data analysis, Stata se/ 14.0ver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n validity and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Cronbach's a value was drawn. To find the actual conditions of first-aid education, frequency analysis, inter-group difference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re were not enough times of job education and first-aid education for private security guard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first-aid education and first-aid ability wer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job and first-aid education counts. Also, their satisfaction with first-aid education partially influenced their first-aid ability.
한국어
1976년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산업 또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고, 더불어 민간경비원의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민간경비원은 다중이용시설에 이용자들의 최초접촉자(first contactor)로서 어떠한 사건·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가장 먼저 사고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해야 하며, 응급의료진이 오기 전까지는 가능한 범위 안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설이용자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민간경비원의 응급처치 교육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민간경비원들의 직무 및 응급처치 교육 횟수를 알아보고, 교육 횟수가 응급처치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민간경비원들의 응급처치 교육 만족도가 응급처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응급처치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tata se/ 14.0ver 을 사용하였으며, 타당도 및 신뢰도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 값을 도출하였다. 응급처치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민간경비원에 대한 직무교육 및 응급처치교육 횟수가 부족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직무 및 응급처치교육의 횟수에 따라서 응급처치교육 만족도 및 응급처치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급처치 교육만족도가 응급처치능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