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과 의학적 함의 - 퇴계 심학(心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Neo-Confucianism and Brain Sciences on Human Behavior Control and Their Medical Implications - Focused on the Toegyeh’s Mind Theory (心學) -

김종성, 김갑중, 박주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garding human lives in terms of behavioral control, Neo-Confucianism explains it through the concepts of Tao Mind (道心) and Human Mind (人心), further with the figure of Four Beginnings (四端) and Seven Feelings (七情),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Li (理) and Qi (氣), while modern medical science explains it with anatomical languages based on the brain sciences. In spite of great differences in their academic concepts and languages originated from entirely distinctive academic base, there are some functional or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the views of Neo-Confucianism and modern medical sciences on human behaviors control. First, in taking a stand with the theory that Original Nature (本然之性) is fundamentally good based on the innateness and relationship, the theory of empathy neuron which is pointed out by modern medical science as biological origin for human morality is considered phenomenologically similar to Neo-Confucian theory of Original Nature. Second, considering the social-moral appropriateness, the view of brain sciences in which the sense and sensibility are expressed from the frontal lobe and limbic system, are regarded as having phenomenological similarity with Toegye’s mind theory (心學) in which Four Beginnings (四端) and Seven Feelings (七情) are expressed from Tao Mind (道心) and Human Mind (人心). Third, the theory of modern medical science, which believes the functional balance between the frontal lobe and limbic system to control human behaviors, is thought to have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with the concepts that the Four Beginnings are manifested by Li and Qi follows that (理發氣隨) and the Seven Feelings are manifested by Qi and Li taps into that (氣發理乘), elicited from academic discussions among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Beginnings-Seven Feelings (四端-七情) and Li-Qi (理-氣). In conclusion, phenomenological similarities in the human behavior control theories of Neo-Confucianism and modern medical sciences are worthy of discussion as multi-disciplinary academic issues between philosophy and medicine. In addition, it is greatly expected that the Neo-Confucianism will be of valuable use for research, clinical practice, and education for professionalism in medicine.

한국어

인간의 삶의 모습(행동조절체계)과 관련하여, 성리학에서는 이(理)와 기(氣)의 작용으로 유래되는 도심과 인심, 더 나아가 사단칠정의 모습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반면, 현대 의학은 뇌 과학적 기반의 해부학적인 언어로 설명하고 있다. 전혀 다른 학문적 토대 위에서 출발하여 서로 다른 언어와 학술적 개념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리학과 뇌 과학이 설명하는 인간의 행동조절체계 이론에는 기능적・ 현상학적 차원에서 몇 가지 유사한 점들이 발견된다. 첫째, 현대 의학이 인간의 도덕성의생물학적 기원으로 지목하고 있는 공감신경세포 이론은 ‘선천성’과 ‘관계성’을 근거로 성선설적 입장을 취하는 점에서, 성리학의 본연지성 이론과 현상학적으로 상통점이 있다. 둘째, 사회적・도덕적 지향성의 결정 여부를 고려할 때, 전두엽과 변연계에서 표출하는정서들은 퇴계 심학(心學)의 도심과 인심에서 표출하는 사단, 칠정의 개념과 각각 현상학적 유사점이 있다. 셋째, 행동조절체계에 대해 현대 의학이 전두엽과 변연계의 기능적 균형으로 보는 시각은, 조선성리학자들 간에 이(理)와 기(氣)의 작용으로 사단과 칠정이 이루어짐에 대해 논란이 있었던, 이기호발 및 기발이승의 개념과 기능적・현상학적으로 근접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현대 의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통성 내지 유사성은 학제 간 연구 또는 철학과 의학의 융합적 관점에서 고찰해야 할 학술과제로서 중요한가치가 있으며, 의학연구, 임상진료, 의학교육에 성리학의 개념을 현대적으로 적용할 수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상통성
  1) 본연지성과 공감신경세포
  2) 인심-도심과 전두엽-변연계
  3) 행동표출체계에 대한 관점
 3. 의학적 함의
  1) 성리학을 적용하는 융합적 차원의 의학연구
  2) 본연지성의 인간관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진료모형
  3) 의학 전문직업성(medical professionalism) 교육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성 Kim, Jong-Sung. 충남대
  • 김갑중 Kim, Gap-Jung. 한마음정신병원
  • 박주성 Park, Ju-Sung. 동아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