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음청류(飮淸類)의 문헌적 고찰

원문정보

A Literature Review of on the Eumchungru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오순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Eumchungru as recorded in 16 royal palace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Eumchungru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Hwachae(花菜) , Sujunggwa(水正果), Isug(梨熟), Sumyeon(水麵), Sangseolgo(霜雪膏),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 Hwamyeon (花麵), Cheongmyeon(淸麵), Semyeon(細麵), Saeng-isug(生梨熟), Osaeg-sudan(五色水團), Sudan(水團), Maeg-sudan(麥水團), Bogbunjago(覆盆子膏), Milsu(蜜水). The frequency of the Eumchungru typ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Hwachae(花菜) 26.4%, Sujunggwa(水正果) 20.7%, Isug(梨熟) 17%, Sumyeon(水 麵)・Sangseolgo(霜雪膏) each 5.6%,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Hwamyeon(花麵)・Cheongmyeon(淸麵) each 3.8%, Semyeon(細麵)・Saeng-isug(生梨熟)・Osaeg-sudan(五色水團)・Sudan(水團)・Maeg-sudan(麥水團)・ Bogbunjago(覆盆子膏)・Milsu(蜜水) each 1.9%.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hwachae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한국어

조선왕조 궁중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음청류(飮淸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궁중음식 가운데 음청류의 종류로는 화채(花菜), 수정과(水正果), 이숙(梨熟), 수면(水麵), 상설고(霜雪膏), 가련수정과(假蓮水正 果), 화면(花麵), 청면(淸麵), 세면(細麵), 생이숙(生梨熟), 오색수단(五色水團), 수단(水團), 맥수단(麥水團), 복분자고(覆 盆子膏), 밀수(蜜水)가 소개되었다. 음청류 가운데 화채(花菜)가 26.4%로 가장 높았고, 수정과(水正果) 20.7%, 이숙(梨 熟) 17%, 수면(水麵)・상설고(霜雪膏) 각각 5.6%, 가련수정과(假蓮水正果)・화면(花麵)・청면(淸麵) 각각 3.8%, 세면 (細麵)・생이숙(生梨熟)・오색수단(五色水團)・수단(水團)・맥수단(麥水團)・복분자고(覆盆子膏)・밀수(蜜水) 각각 1.9%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청류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음청류의 종류
  2.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음청류의 재료구성
 Ⅳ.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순덕 Soonduk, Oh. 정회원, 조선왕조 의궤음식 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