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자본, 지식관리 활동, 혁신, 관계만족 및 관계투자에 관한 실증연구- 국내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Social Capital in Technology Cooperation Network,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nov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Investment : Focused on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강석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performance have assumed a black box in the linkage. According to the knowledge based view, firms with inter-dependent relationship can make innovation through sharing processes of knowledge. In other words, social capital as intangible resource results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which can increase innovation performance. And increasing innovation can make relationship satisfaction promoting relationship investment gradually. Therefore, research hypotheses are made from social capital to relationship investment. From the empirical results, except for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both product innova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lmost all hypotheses are reported to be significant.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positively affect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investment is positively affected by relationship satisfaction. From this study, we can know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strategic management view.

한국어

사회적 자본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사회적 자본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자본이 혁신성과에 어떠한 단계를 거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중간과정을 블랙박스(black box)로 가정하고 있다. 지식기반관점에 따르면 혁신은 상호의존 관계에 있는 행위자들 간의 지식의 교환과정의 결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의미로, 혁신창출은 사회적 자본과 같은 무형자원이 구성원 간의 지식관리 활동을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지식관리 활동은 혁신창출의 원동력이 된다. 그리고 혁신달성을 통한 관계만족이 지속적인 관계투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에서 출발하여 관계투자로 이어지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지식공유의 영향을 제외하고, 모든 설정된 가설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 성과 달성은 중소기업에게 관계만족을 증가시켜 지속적인 관계투자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전략 측면에서 기업의 지식관리 활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기술협력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2. 사회적 자본, 지식관리 활동 및 혁신의 관계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 결과
  1.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
  2. 회귀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석민 Kang, Seok-Min. 계명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