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숲에서 유아의 흙 놀이 과정 분석

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ildren’s Free Soil Play Process in the Forest

김학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processes of the children’s free soil play as they perform their daily activities in the forest. Ethnographic research as the method of the study was used, as the researcher analyzed 20 children with ages of 4 to 5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daily activities of 'I Grand Park Forest class' from March to december, 2016. The results of free soil play process were analyzed are summarized below. The children's soil playing is five processes ; ‘Recognize’, ‘Adapt’, ‘Play with purpose’, ‘Adding a natural product’, ‘Expand together'. If you look at it concretely, ‘Recognize’ is a step of the children recognizes the existence of the soil. ‘Repeat ' is the repetition of the behavior of the children, such as dig, put in and move of the soil, etc. ‘Play with purpose' means playing with the purpose when the children plays. 'Adding a natural product' is a step in the process of adding a variety of natural objects in the forest. Lastly, 'Extension of playing' is a step in the process of allowing childrens to play naturally and proceed with soil play. as a result, children who enjoy soil play naturally expand into integrated play, so there should be an environment where free soil play can be played.

한국어

이 연구는 숲이라는 환경 속에서 매일 흙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놀이하는 유아의 흙 놀이 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I시에 소재한 매일형 숲반으로 만4세 11명, 만5세 9명으로 총 20명이다. 2016년 3월 3일(목)부터 12월 21일(수)까지 연구자가 매일 유아들의 일과 속으로 들어가 참여관찰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들의 흙 놀이 과정은 ‘인식하기’, ‘적응하기’, ‘목적 있는 놀이하기’, ‘자연물 추가하기’, ‘함께 확장하기’의 단계로 범주화 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식하기’는 유아가 흙의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이고, ‘적응하기’는 유아가 흙을 파고, 담고, 옮기는 등의 행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목적 있는 놀이하기’는 유아가 의미를 정해놓고 흙 놀이를 하는 단계이며, ‘자연물 추가하기’는 숲에 있는 다양한 자연물을 추가하여 흙 놀이를 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함께 확장하기’는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역할을 나누어 통합적으로 흙 놀이를 진행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흙놀이가 일정한 단계를 거쳐 자연스럽게 다른 유아들과의 통합적 놀이로 확장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흙 놀이가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기관 및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Ⅲ. 결과 및 해석
  1. 인식하기
  2. 적응하기
  3. 목적 있는 놀이하기
  4. 자연물 추가하기
  5. 함께 확장하기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학선 Kim, Hak Sun. 숲유아교육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