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보와 승보신앙의 소고(小考)

원문정보

A Study on Faith for the Jewel of Sangha and Three Jewels 三寶

최경만(정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ee jewels,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angha, are the objects for worship of Buddhism and simultaneously, the treasures that we should rely as refugee until accomplishing the goals of Nirvana and the Buddhahood. Regardless of time and regions, Buddhism was transmitted from the original school of buddhism into the northern areas, which is called Mahayana buddhism, and the southern areas which is called the Hynayana buddhism. Meanwhile the faith of the three jewels has not changed. Three jewels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ideology of the faith of Sangha.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the jewel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 were stereotyped and the jewel of the Sangha played a role to succeed and transmit the dharma. Hence, I examined what buddhist practices the Sangha has implemented: the establishment of three jewels, the justification of homage to three jewels, the importance of the Sangha's role, the essence of Sangha religious body, the dharma of non regression for the prosperity of Sangha, the qualification of pure Sangha, the power of Sangha's virtuous 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a field of merit. As the thought of a field of merit in the time of the fundamental buddhism emphasized on the Pujana of lay persons, the Sangha naturally stayed on a fix place and concentrated on their practices. In the response of offerings, the Sangha conveyed the dharma to the donor. For the examples of merits of offerings, I looked into some cases that donors were borned in the heaven and received the good merits. As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a field of merit, the Mahayana buddhism was activated with the merit of offering paramita. According to this flow, the kinds and numbers of offerings to the Sangha were getting increased.

한국어

1. 불 법 승 삼보는 불교 신앙심의 예배 대상물임과 동시에 해탈성불의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의 귀의해야하는 그야말로 보배이다. 시간과 지역 구분없이 원시 부파 대승 그리고 남방 북방으로 전법되면서도 삼보 귀의심은 변함이 없다. 즉 삼보는 승가신앙의 중심사상이라 할 수 있다. 2. 불보 법보는 불멸 후 정형화 되었으므로 승보가 불법을 계승 전법하는 의무에 서게 되었으므로 승가승보의 모범적인 수행의 책임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으로는 삼보의 성립, 삼보귀의당위성, 승보역할의 중요성, 승가 교단의 본질, 승가 번영을 위한 불퇴법, 청정한 승보의 자격, 승보 덕행의 힘, 복전사상의 발전 등으로 요약하였다. 3. 원시불교시대의 복전사상이 재가신도의 시주물 공양으로 활성화되면서 승가는 자연스럽게 한 곳에 정주하면서 수행에 전념하게 된다. 그 대신 승보는 공양물 시주자에게 법전으로 안심입명을 얻게 한다. 아울러 생천복락을 얻은 사례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4. 복전사상의 발전으로 대승불교로 내려오면 보시물 바라밀의 공덕으로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것은 승가에 대한 보시종류와 물량이 점점 많이 불어났다는 사실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1. 삼보의 사전적 의미
  2. 삼보승가의 성립
  3. 삼보에 귀의하는 이유
  4. 삼보영역의 경계
 Ⅱ. 승보 승가 역할의 중요성
  1. 승가교단의 본질
  2. 7불퇴법과 6불퇴법
  3. 청정한 승보의 자격
  4. 승보에 공양 귀의
 Ⅲ. 불보승보에 대한 복전사상
  1. 복전의 의의
  2. 불보승보 복전의 자세
  3. 승보 복전의 과보(果報)
  4. 복전사상의 발전
  5. 시주물 복전의 종류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경만(정인) Choi, Jeong-in.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