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이후 첫 주된 일자리 취업자의 구직경로별 구직준비행동이 취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 Employment Activities of Graduates’First Regular Jobs by employment channel

오성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re desirable job readiness course of ac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argeting the first regular workers to graduate from universities through 2011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The analysis results, first, confirm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best described in internal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ut not confirmed in the external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ork experience actions are also to some exten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ut less than internal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second confirmed that formal channel rather than informal employment channel and the direct employment channel is well document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employment actions, 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ut the direct channel is not confirmed the casual relationship through a average value actually showed a higher than other channels.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is that showed the desirable tendency to on job fi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f young graduates were employed through internal preparation behavior that had been previously highlighted. This results means to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live a more desirable career for young job seekers. This also means that the young job seekers need to seek work based in the internal preparation behavior and work experience action and career service made this meet in the field. It suggests that this needs to be actively considered when expanding employment servic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의 초기 노동시장 진입과 적응과정에서 발생하는 행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취업준비단계 부터 취업이후의 행동특성을 통해서 보다 바람직한 구직준비행동 방향을 탐색코자 한다. 이를 위해서 2011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를 이용하여 대졸취업자 중에서 졸업이후 첫 번째 주 된 일자리로 취업된 사람을 대상으로 직무적합성,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내적준비행동이 직무적합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가 장 잘 설명하였으나 외적준비행동은 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직장경험행동은 직무적합성,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간의 인과관계를 어느 정도 설명하고 있으나 내적준비행동보다는 계수 값이 적게 나 타났다. 둘째, 비공식경로 및 직접경로보다는 공식적 경로가 취업준비행동, 직무적합성, 직무만족 및 이 직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접경로의 경우 항목별 단순 평 균값에서는 여타 경로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인관관계 설명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가 사시하는 바는 대졸 청년취업자들은 기존에 강조되어 왔던 내적준비행동이 취업 이후에도 직무적합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가장 바람직한 성향을 나타내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구 직자들에 적합한 직업체험 및 경험을 하는 것도 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대졸 청년구직자들이 상 대적으로 구직준비행동의 내적준비행동, 직장경험행동에 근거한 구직활동을 해야 함을 의미하며 실제 직업 및 진로지도 현장에서 이에 초점을 맞춘 진로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며 고용서비스 확 충에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2.1 계획행동이론과 구직준비행동
  2.2 직무만족도의 구성요인
  2.3 구직준비행동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2.4 구직준비행동과 직무적합성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2.5 직무적합성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2.6 구직경로별 구직행동 특성
 Ⅲ. 연구방법
  3.1 가설 설정 및 연구모형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3 표본의 특성
 Ⅳ. 실증적 분석결과
  4.1 타당성·신뢰성 분석
  4.2 전체모형 분석결과
  4.3 구직경로별 특성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오성욱 Seong-Uk Oh.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