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s and the levels of performance about attributes of teacher leadership ba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men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mportances of teacher leadership in all stag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formances level, and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s and the levels of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re were some attributes located in different domains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al stages. Third, there were some attributes belonging to the same domain of IPA in all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related with teacher’s leadership.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경력단계에 따라 교사리더십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발휘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교사리더십의 영역별 속성에 주목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교사리더십의 영역을 수업지도, 생활지도, 학급운영, 동료교사와의 교육활동, 행정업무, 학부모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영역별 하위속성을 목표지향성, 공동체성, 과업주도성, 전문성으로 도출하였다. 설문은 인천의 초등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사들은 경력 전반에 걸쳐 교사리더십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발휘수준에 있어서는 경력단계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리더십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발휘수준의 차이도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IPA를 활용하여 교사리더십의 영역별 속성을 분석한 결과, 교사경력단계에 따라 IPA의 각 영역에 속하는 속성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IPA를 활용하여 교사리더십의 영역별 속성을 분석한 결과, 교사경력전반에 걸쳐 IPA의 각 영역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속성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사리더십과 관련된 연수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리더십
2. 교사경력단계
3. 교사경력단계와 교사리더십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조사도구
3. 자료분석
Ⅳ. 결과분석
1. 교사경력단계별 교사리더십 중요도와 발휘수준 차이 분석
2. 교사경력단계에 따른 교사리더십 중요도와 발휘수준 차이 분석: 영역별 속성을 중심으로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고완태(1999).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현직교육체제의 평가. 교육학연구, 37(2), 345-373.
- 2교육부(2016). 2017년도 교원 연수 중점 추진 방향.
- 3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secondary school: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네이버 원문 이동
- 4교사리더십 개념 모형 구안 연구earticle 원문 이동
- 5김영천(2013). 초임교사는 울지 않는다. 경기도: 아카데미프레스.
- 6김영태(1999). 교사 지도성 탐색. 서울: 창지사.
- 7An analysis on job competency of novice teachers네이버 원문 이동
- 8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장교사의 리더십, 초임교사의 교직관 및 교직적응 간의 구조관계earticle 원문 이동
- 9류윤석(2010). 초등학교 학급조직에서의 교사 리더십 방향 탐색. 한국교육논단, 9(2), 49-70.
- 10박세훈, 박지훈(2014). 교사의 지도성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교육학연구, 52(4), 19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