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영어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원문정보

Explor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 and School Variables Affect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오영교, 차성현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 and school variables affect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doing so, the study used KELS 2013(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data and employed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tudent-level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SES) and their support, English academic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learning flow, test stress. School-level variables include teacher’s efficacy, teaching styles, student’s attitude in class, and school 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t the student level,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an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English achievement scores; i.e., students who had high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tend to have low English achievement scores. when learning flow mediated such a relationship, however, the direction was reversed. At the school level, student’s class attitude fully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nteractional teaching style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e., schools with teachers who had higher teaching efficacy and gave more focus on interactional instruction in class tend to have favorable class attitudes in school,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at the cross effect between school and student level,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styles had positive effects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via learning flow.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flow and teachers pedagogical skills related to teaching efficacy should be made for higher English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다층구조방정식 모형(Multi-level SEM)을 적용하였다. 학생수준에서는 영어에 대한 내재적 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몰입도, 시험불안, 부모지원,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학교수준에서는 교사의 교수효능감, 수업방식, 학생수업태도, 학교의 사회경제적 지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수준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가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업몰입도가 매개변인으로 포함되었을 때는 모두 영어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중심 수업방식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태도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상호작용중심 수업방식이 학생의 수업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좋아진 수업태도는 영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학교수준 간 교차효과에서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수업방식은 학생수준의 수업몰입도를 거쳐 영어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의 수업몰입도와 교사의 학생수업태도 향상을 위한 학생 및 학교수준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관심과 교수-학습방법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변인
  2.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교수준 변인
  3. 학업성취 예측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Ⅲ.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2. 변수 구성 및 측정
  3. 연구모형
  4.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2.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영교 Oh, Young Kyo. 전남대학교
  • 차성현 Cha, Sung Hyun.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ing Roles, Teacher Leadership, Leaning Motivation for Leaning Flow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네이버 원문 이동
  • 2김경희, 김완수, 최인봉, 상경아, 김희경, 신진아, 김준엽, 손원숙(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력 향상의 특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3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Roles of Teacher Support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네이버 원문 이동
  • 4Validation of taxonomy of academic Motivatio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네이버 원문 이동
  • 5Korean societ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adolescents : The Development of Academic Motiv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네이버 원문 이동
  • 6Teacher efficacy네이버 원문 이동
  • 7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네이버 원문 이동
  • 8English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in Korea: Theoretical and thematic changes and prospects네이버 원문 이동
  • 9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네이버 원문 이동
  • 10Tendency Analysis on the School Effectiveness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네이버 원문 이동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