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늘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Ha-neul Elementary School

윤정, 조민지, 유경훈, 김병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need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TLCs) and their benefits have been noticed, activation plans for TLCs in schools are discussed. Preceding researches suggest, schools are to be ready for principal leadership, democratic school cultur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nd guarantee on the teacher autonomy to activate TLCs. However, we can find only a few school where such conditions are already made. We need to figure out how to make a go of it in the non-prepared schools. For that,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n ordinary elementary school to explore teachers'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of a TLC.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015 to February, 2016 by participating in the TLC meetings, doing official interviews and informal conversations, and social media resources, official documents, learning materials, photos, and video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TLC, experienced ‘Sailing without a map.’We described the process of the TLC dividing into three periods: 'departure: starting in indifference', 'sailing: conflicts and achievements', 'anchorage: taking a break for a new start'. TLC has meanings to the teachers as ‘community's care about my problem', 'a support group', and 'a stimulant'. When focus on the meanings, we can get the desired result from TLCs and improve the conditions for TLCs in the school system.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사학습공동체의 필요성과 성과들이 주목을 받으면서, 학계에서도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현재 선행연구들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장리더십, 민주적인 학교문화, 행·재정 지원, 교사의 자율성 보장 등의 조건들을 일부라도 갖추고 있는 학교들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현재의 학교가 놓인 상황에서 교사학습공동체를 조직하고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고자 하는 교사들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연구자는 경기도의 한 평범한 초등학교에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며 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해 봄으로써 이 문제의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의 기간은 2015년 2월부터 2016년 2월까지이며 자료의 형태는 참여관찰일지, 면담 전사록, 소설미디어 글모음,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공문서와 학습자료, 현장녹화 비디오 파일, 사진 등이다. 연구결과,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서의 교사들은 ‘지도 없는 항해’라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으며, 연구자는 그 과정을 ‘출항: 무관심 속에 우리끼리’, ‘항해: 갈등과 성취를 경험하기’, ‘정박: 새로운 출발을 위해 1년을 되돌아보기’의 기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또한 하늘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발견한 ‘내가 가진 문제에 대한 공동체의 관심’, ‘지원군’, ‘자극제’라는 의미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전문성을 개발하고 학교교육의 변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교사들, 그리고 그 교사들을 어떻게 도와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학교장과 교육 행정가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학습공동체
  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하늘초등학교와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
  2. 자료 수집과 분석 과정
 Ⅳ. 하늘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과정에서 교사들의 경험 : ‘지도 없는 항해’
  1. 출항: 무관심 속에 우리끼리
  2. 항해: 갈등과 성취를 경험하기
  3. 정박: 새로운 출발을 위해 1년을 되돌아보기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정 Yun, Jong. 경희대학교
  • 조민지 Jo, Min Ji. 한국교육개발원
  • 유경훈 Ryu, Kyung Hoon. 한국교육개발원
  • 김병찬 Kim, Byeong Chan.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