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궁궐의 殿閣 月臺와 의례 - <동궐도>와 <서궐도안>을 대상으로 -

원문정보

The Palaces Weoldae(月臺) structur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and related rituals

조선후기 궁궐의 전각 월대와 의례 - <동궐도>와 <서궐도안>을 대상으로 -

이현진, 손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oldae -which we can find inside Joseon palaces- is usually erected in front of important structures including the Main Hall(Jeongjeon, 正殿).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its nature that we can find in official law codes or dynastic ritual manuals, and such records do not specify what kind of rules should be observed in creating them either. In illustrations of palaces such as and , Weoldae can be seen at structures such as the Main “Jeongjeon” Hall(正殿), Royal office(Pyeonjeon, 便殿), Royal Quarters(Jeongchim, 正寢), Queen’s bedroom(Chimjeon, 寢殿), Quarters of the Crown Prince(Dong’gung, 東宮), and other structures. All these structures equipped with a Weoldae were related to special figures inside the royal family such as the king, the queen, the crown prince, and the crown-prince’ son. These figures were literally above the law, and as such their treatment could not be defined by law. And these spaces were where they worked or rested while they lived, and where their posthumous tablets(Shinju, 神主) or portraits(Eojin, 御眞) were enshrined after they died. (When such spaces were used for latter purposes, they were designated either as ‘Honjeon[魂殿, chamber of the tablet]’ or ‘Jinjeon[眞殿, hall of portrait’]).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with a strict social stratification system, and the palace structures reflected such atmosphere as well. We can see that structures described with Weoldae in and were structures which were more important than others that did not have a Weoldae. Among structures with Weoldae, the place which hosted most of the dynastic rituals was the Main Hall. In this Main Hall, the King swore an oath himself, passed the incense(香) himself during memorial services, and observed honoring ceremonies[Manbae-rye(望拜禮)] at the “Hwangdan”(皇壇) altar which was built to commemorate the three Ming Emperors. The so-called “Two Palaces[兩闕]” of Joseon shared a unique relationship in terms of their own Weoldae units and the rituals that were held there.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Gyeongbok-gung(景福宮) and Dong’gweol(東闕) constituted the “Two palaces,” but after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during which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incinerated, Dong’gweol and Seogweol(西闕) came to newly form the “Two palaces” instead. Meanwhile, Changdeok-gung(昌德宮) became the main palace[法宮], replacing the previous one which had been Gyeongbok-gung. In general, when a king moved to another palace, the ancestral tablets in the Honjeon chamber or the portrait in the Jinjeon hall would accompany him as well. Their presence w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new palace. But king Yeongjo was an exception from that practice. Even after he moved to the Gyeong’hi-gung(慶熙宮) palace, he continued to pay visit to the Jinjeon Hall at Changdeok-gung. While he was positioned inside Gyeong’hi-gung, he did not manage the palace with Gyeonghi-gung as its sole center. He tried to manage other palaces like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昌慶宮) as well, and as organically as possible.

한국어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되어 있는 월대는 正殿과 같은 위격이 높은 건물 앞에 놓인 평평한 臺이다. 법전이나 국가전례서에는 월대의 정의나 조성관련 규정이 수록되지 않았다. 조선후기 대표적인 궁궐 그림인 <東闕圖>와 <西闕圖案>에는 外殿의 正殿・便殿・正寢・寢殿・東宮 등에 월대가 조성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월대가 마련되어 있는 이 건물들은 왕실 구성원 중 국왕이나 왕후・세자・세손 등과 관련 있다. 이들은 법전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 법의 규정 밖에 있는 왕실의 사람들이다. 살아 있을 때 그곳에서 정무를 보거나 거처하고, 죽은 뒤에는 神主를 봉안하는 魂殿 또는 御眞을 봉안하는 眞殿으로 활용된 공간이다. 조선은 신분제적 질서가 엄격한 유교 국가였고, 이는 궁궐의 전각에도 적용되었다. <동궐도>와 <서궐도안>에 월대가 묘사된 전각들은 월대의 존재만으로도 여타 전각과는 위상이 달랐음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월대가 있는 전각 중 의례를 거행한 곳은 외전의 정전이 대부분이다. 외전의 정전에서 국왕이 직접 맹세를 한다거나, 제사를 지낼 때 香을 직접 전한다거나, 명나라 세 황제를 위해 조성한 皇壇에서 望拜禮를 올리는 등의 의례를 거행하였다. 다음은 월대와 거기에서 행한 의례를 통해 본 兩闕의 관계이다. 조선전기에는 경복궁과 東闕을 양궐로 보았는데, 임진왜란 이후로 경복궁이 불타면서 동궐ᆞ 및 西闕이 양궐을 형성하면서 法宮이 경복궁에서 창덕궁으로 바뀌었다. 일반적으로 국왕이 다른 궁궐로 옮겨가면 혼전의 신주나 진전의 어진도 함께 가기 마련이다. 따라서 옮겨간 궁궐에 있는 전각을 혼전이나 진전으로 삼아 의례를 행하였다. 그런데 영조의 경우는 경희궁으로 옮겨간 뒤에도 창덕궁에 있는 진전에 拜謁하였다. 경희궁으로 옮겨갔다고 해서 경희궁 중심으로 궁궐을 운영한 것이 아니라 창덕궁・창경궁과 유기적으로 궁궐을 운영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월대의 개념과 조선 궁궐의 월대
 Ⅲ. 양궐의 월대 양상과 축조 배경
 Ⅳ. 월대에서 거행된 왕실 의례와 그 의미, 양궐의 관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진 Lee, Hyun-jin.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 손신영 Son, shin-young. 한국미술사연구소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