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덕(樹德) 최자(崔滋)의 학문관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udeok Choi-Ja's Study Viewpoint

정성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is consider the life and study viewpoint of Choi-Ja who lived in during the Musin regime of Koryo Dynasty. During this period, knowledg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gradually generalized among scholars and writer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criticized sajanghak(詞章學). Choi-Ja regrets that people' reading style is not correct at the time. People are only trying to learn to participate in social exams and learn to read and write articles related to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Nevertheless, if he passed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he criticized the government for failing to study harder, even though he had to work harder. Choi-Ja lamented that the intellectuals basically did not read about the Kyeongsabaekka(經史百家) and on the outward appearance. His scholarly attitude implies that he can be recognized as a genuine learningexperience when he forms the moral character of his inner self rather than his outward form. Choi-Ja' emphasis on six Confucian writings indicates that his virtues ere based on the Confucian spirit of Confucius. He pointed out the abuses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of his poems to build poems based on these Confucian traditions. He emphasized that the government ought to reflect on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ie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reflect the politics of the people and improve the mood of the people.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고려시대 무인집권기에 활동한 최자의 삶과 학문관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 시기에는 유교경전에 대한 지식이 학자와 문인들 사이에 점차 일반화되어 갔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는 사장학을 비판하는 기풍을 형성할 수 있었다. 최자는 당시 사람들의 독서 방식이 올바르지 않음을 안타까워했다. 사람들은 사회진출 하는 데에만 힘을 기울여 과거시험과 관련된 글만 익히고 글을 쉽게 깨닫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래도 다행히 과거시험에 합격했다면 오히려 더욱 학업에 부지런히 노력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하지 않음을 비판하였다. 최자는 지식인들이 기본적으로 경사백가서에 대한 독서를 하지 않는 태도와 겉으로 형식미에 치우치는 번화한 꾸밈에 대해 개탄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 태도는 외형적 형식보다 내면적 인격의 수양을 형성하게 될 때 참다운 학문으로써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최자가 유교의 여섯 가지 경전을 중시한 것은 그의 학문관이 바로 유교적 문치주의 정신에 기초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유교적 학문관에 기반하여 역대로 문장을 다듬고 꾸미는데 종사하고 시를 지어 음풍농월이나 일삼았던 당시 문인들과 유자의 폐습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임금은 마땅히 유교경전과 역사서를 근본으로 정치를 펼치고 백성 교화와 풍성 변화에 힘써야 함을 강조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무신집권과 최자의 활동
 Ⅲ. 사장학 비판과 경사백가서(經史百家書) 중시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성식 Jeong, Seong-sik. 영산대학교 성심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