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러시아 언론과 애국문학에 나타난 알래스카 – 러ㆍ일 쿠릴열도 분쟁에의 함의 -

원문정보

Alaska expressed in Russian media and patriotic literature - Implications for the Russo-Japanese Kuril Islands Dispute

배규성, 계용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867, Russia sold its last remaining colonial possessions, Russian America including Alaska to the United States for $7.2 million. This paper will at first examine Russian public opinion and national sentiment on the sale of Alaska in Russian media and patriotic literature through contrast with historical situation and objective facts. Next, it will be analyzed what meaning and affect the public opinion and emotion shaped by the mixture of historical realities and literary imaginations have on present Russia’s territorial disputes with other countries, especially the Kuril archipelago conflict between Russia and Japan. More specifically, in Chapter 2(Alaska in the Russian press) will be examined the historical situations and objective facts around Alaska trade in 1867 and the contemporary Russian public opinion and national sentiment about the trade. In Chapter 3(Alaska in Russian Patriotic Literature) the Soviet historical interpretation on the colonization of Russian America, and Russia’s patriotic literature on Alaska which has been transformed into indivisible part of the symbolic geography of Russian nationalism will be analysed. And then the process of spewing the anger at Alaska’s sales to the United States into the liberal reformers’ betrays and the conspiracy of the Jewish-Masonic plot will be examined. In the final conclusion, it will be examined how the trauma in Russian psychology left by Alaska sales would have an impact on various territorial disputes facing Russia today, especially the Kuril archipelago conflict between Russia and Japan. Considering the nationalism and nationalist sentiment that have gained greater momentum in Russia since its merger of Crimea in April 2014, this analysis is appropriate.

한국어

1867년 러시아는 알래스카를 포함하여 북 아메리카에 남아있던 잔여 식민지 재산을 미국에 720만 달러에 팔았다. 본 논문은 러시아 언론 및 러시아 애국문학 속에 나타난 러시아의 알래스카 판매에 대한 러시아의 국민 여론과 민족적 감정을 역사적 상황과 객관적 사실과의 대비를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역사적 현실과 문학적 상상의 대비를 통해 나타난 국민 여론과 감정이 러시아의 타국과의 영토분쟁, 특히 러시아와 일본 간의 쿠릴열도 분쟁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분석해 볼 것이다. 2장(러시아 언론에 나타난 알래스카)에서는 1867년 알래스카 매매에 대한 역사적 상황과 객관적 사실을 알래스카 매매에 대한 오늘날 러시아인의 여론과 민족감정과 대비하여 살펴볼 것이다. 3장(러시아 애국문학에 나타난 알래스카)에서는 러시아-아메리카의 식민개척에 대한 소비에트의 역사적 해석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제는 러시아의 애국문학에서 러시아 민족주의의 상징적 지리의 일부가 되어버린 알래스카에 대한 러시아의 국민적 감정 그리고 알래스카의 판매에 대한 분노를 자유주의 개혁 배신자들과 유대-프리메이슨의 음모로 분출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결론부분에선, 알래스카 판매로 인해 러시아인의 심리에 남겨진 상처(트라우마)가 오늘날 러시아가 직면한 다양한 영토분쟁, 특히 러시아와 일본 간의 쿠릴열도 분쟁에 어떤 의미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2014년 4월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합병한 이후 러시아에서 더 큰 모멘텀을 획득한 민족주의적 여론과 감정을 고려하면 적절하고 적실한 연구주제라고 생각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러시아 언론에 나타난 알래스카
  1. 알래스카 매매의 역사적 배경과 객관적 사실
  2. 알래스카 매매에 대한 국민여론과 민족감정
 Ⅲ. 애국문학에 나타난 알래스카
  1. 심각한 농담
  2. 소비에트의 역사 청사진
  3. 알래스카는 러시아 민족주의의 상징적 지리의 일부
  4. 자유주의 배신자와 유대-프리메이슨의 음모
 Ⅳ. 결론 – 알래스카 트라우마와 러․일 쿠릴열도 분쟁에의 함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배규성 Bae, Kyu sung.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연구교수
  • 계용택 Ke, Yong tek. 러시아 리서치센터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