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살위기개입과 자살예방 관련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이 지각하는 어려운 점과 극복 방안

원문정보

Difficulties and Solutions Relating to Suicide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Perceived by a Military Support Counselor

박철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s by analyzing mixed materials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Fifteen military support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military bas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rvey, one(7%) unit responded that they do not offer suicide prevention services or programs, while remaining 14(93%) military units are providing programs such as mental health programs aimed at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executive members, identify high risk groups through psychological test on new recruits. Also, units which include suicide related questions in counseling application form are 10(66%) and the units provide suicide related questions to client at their initial interview are as many as 13(87%). The interventions done by military support counselors to highly likely suicidal client were such as report to chain of command, cooperate with military hospital, notice clients guardian, provide counselors personal contact number at the most. Difficulties that counselors face are identified by 4 factors : ‘military's lack of interest and short of support’, ‘absence of suicide risk intervention system’, ‘social recognition’, ‘counselor factor’ and 11 categories. Among them, general categories are shown as ‘hush and glare’, ‘short of counseling budget and specialized staff’, typical categories are shown as ‘absence of cooperative organization’, ‘absence of corresponding manual’, ‘lack of interest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counseling’, ‘naive attitude toward suicide’, ‘burden and anxiety the counselor have to deal with’, ‘poor suicide preventing education and training’, ‘exhaustion caused by suicidal risk intervention’ and so on. Also, Future development proposed by counselors are classified by for 4 factors : ‘improve military's interest and support about the issue’, ‘establish suicidal risk intervention system’, ‘social recognition’, ‘counselor factor’ and 11 categories. Among which, general categories are ‘budgetary expansion and hiring more professional manpower’ and typical categories are shown as ‘improving problem recognition’, ‘24/ on-call system’, ‘establishment of unit and community network’, ‘development of suicide risk intervention’, ‘compulsory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unselors’, ‘mutual support between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 ways to prevent military base suicide and suicide risk intervention and give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한 혼합자료를 분석해 군에서 실시하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군부대에서 근무하는 15명의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이 심층면접에 참여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1곳(7%)의 부대가 자살예방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나머지 14곳(93%)의 군부대는 병사를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간부를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교육, 신입 병사를 대상으로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자살 고위험군 등을 선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신청서에 자살에 관련된 질문을 포함시킨 군부대는 10곳(66%), 초기 면접 시 모든 내담자에게 자살 관련 질문을 하는 군부대는 13곳(87%)으로 나타났다.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자살위험이 높은 병사에 대한 개입으로는 군에 알림, 군병원으로 연계, 보호자에게 연락, 상담관 개인연락처 제공 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상담관들이 지각하는 어려운 점은 ‘군부대의 부족한 관심과 지원’, ‘자살위기개입 시스템의 부재’, ‘사회적 인식’, ‘상담관 요인’ 등의 4가지 요인과 11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일반적 범주로는 (군부대의) ‘쉬쉬하거나 반짝 관심’, ‘군상담의 전문 인력과 예산 부족’이 나타났고, 전형적 범주로는 ‘군상담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심부족’, ‘자살에 대한 안일한 태도’, ‘협력기관 부재’, ‘상담관의 부담감과 불안함’, ‘매뉴얼 부재’, ‘미흡한 자살예방 교육과 훈련’, ‘자살위기개입으로 인한 상담관의 소진’등이 나타났다. 또한 상담관들이 제안하는 향후 발전 방향은 ‘군부대의 지원과 상담에 대한 관심 확대’, ‘자살위기개입 시스템의 구축’, ‘사회적 인식 개선’, ‘상담관 요인’ 등의 4가지 요인과 12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일반적 범주로는 ‘전문인력의 보강과 예산 확대’, 전형적 범주로는 ‘문제인식의 개선’, ‘24시간 상담서비스’, ‘부대와 지역사회 간의 네트워크 구축’, ‘자살예방 교육의 의무화’, ‘자살위기개입 매뉴얼 개발’, ‘상담관을 위한 교육과 훈련’, ‘상담관 간의 상호지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군부대의 자살위기개입과 자살예방을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연구 체계 및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심층 질문지
  3. 자료수집 절차
  4. 자료 분석방법
 Ⅲ. 선행연구 조사
  1. 군상담의 개념 및 특성
  2.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역할과 임무
  3. 군 내 상담 관련 문제점
 Ⅳ. 군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
  1.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현황
  2.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제도의 한계
 Ⅴ. 연구결과
  1. 자살예방 상담과 관련해서 어려운 점
  2. 자살위험이 있는 병사와의 개입에서 경험한 어려운 점
  3. 참여자들이 지각하는 어려운 점의 연구결과 양식
  4. 자살예방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
  5. 자살위기개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
  6. 참여자들이 제안하는 향후 발전 방향의 연구 결과 양식
 Ⅵ. 결론
  1. 결론
 Ⅶ.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철우 Park, Chul Woo. 동덕여자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