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교다양화정책에 따른 일반고와 특목고 학생들의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effect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on quality of school life in general or special-purpose school

안영은, 박세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eather High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ffect quality of students' school live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data were utilized from data of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A Study on the High Schools(2009, 2012)」 condu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Multi-level model analysis were used. Student-level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gender, SES, intrinsic motivation, self-esteem, parents' attitude, School-level variables include the school type by foundation(National·Public/private), school SES, teacher's morale and passion, teachers' focusing on achievement. Especially the school type(general/special purpose school) was a major variable to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hen controlling student and school level variables, in 2009 the special-purpose school was lower than the general school in all variables about quality of school life except curriculum satisfaction and friendship. However after High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in 2012 the special-purpose school was higher than the general schoo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고교 3-4주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교다양화정책으로 고교체제가 변경된 2010년 전과 후 특목고 대비 일반고 학생들의 삶의 질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층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결과, 학생의 삶의 질의 네 가지 하위요소 모두 긍정적 효과 향상도에 있어 특목고가 일반고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교우관계 및 교육과정 만족도는 2009년, 2012년 모두 특목고가 일반고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그 격차가 증가하고 있었다. 학교생활안정성은 특목고가 오히려 낮았다가 정책시행 후 일반고보다 높아졌으며, 학교생활만족도의 경우 일반고는 2012년 소폭 감소하였고 특목고가 일반고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층분석 결과, 학생과 학교수준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정책시행 전인 2009년에는 교육과정만족도와 교우관계를 제외하고 학교생활안정성, 학교생활만족도는 특목고가 일반고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책시행 후인 2012년도에는 교육과정만족도, 교우관계, 학교생활안정성, 학교생활만족도 모두 특목고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 향상도에 대한 고교유형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교다양화정책과 학교유형
  2. 학생의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
  3. 학생의 삶의 질(quality of school life) 영향요인
  4. 유사종단자료를 활용한 다층모형 분석
 Ⅲ.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모형 및 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고등학생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및 학생 배경 변인 탐색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영은 Youngeun An. 서울대학교
  • 박세진 Sejin Park. 월포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