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공허감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돌봄

원문정보

Emptines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ies and Christian Counseling

이재순, 김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a sense of emptiness experienced by borderline personality, this study researched eight samples with raw score for 39 & up, considered as a group experiencing similar problems with the experience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ale(PAI-BOR). Regard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first, the overall contents were understood to cognize the whole by repetitively reading the text. Analysing phenomenons suitable for a sense of emptiness in the unit of meaning, and also topicalizing the unit of meaning into academic terms, total 39 sub-elements were drawn. Those 39 sub-elements were integrated into 11 elemen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self-awareness of none’, ‘pain caused by hopelessness’, ‘decline of desire for life’, ‘non-being like feeling’, ‘unstable faith’, ‘lacking in confidence’, ‘difficulty in relationship’, ‘loss of life control’, ‘repetitive suicide incident’, ‘tendency to addiction’, and ‘expectation about overcoming’. Like this, as the core of a sense of emptiness experienced by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is the self-awareness of none, they experience the paralysis of emotion. In other words, as their internal structure was fragmented by the absence of experience in good objects, they experienced the confusion of identity, instability of emotion, and difficulty in relationship. Based on such results, the Christian counseling was discussed to relieve a sense of emptiness of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한국어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에서 경험되는 공허감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에서 경계선 성격장애가 경험하는 것과 유사한 문제를 경험하는 군으로 간주하는 원점수 39점 이상의 8명을 표집하여 연구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론에 따라 먼저 전체를 인식하기 위하여 텍스트를 반복하여 읽으며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여 공허감에 합당한 현상을 의미단위로 분석하고, 의미단위를 학문적인 용어로 주제화시켜 하위 구성요소가 39개 도출되었다. 39개 하위 구성요소는 11개 요소로 통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에 대한 자각’, ‘무망감으로 인한 고통’, ‘삶의 의욕저하’, ‘비존재적인 느낌’, ‘불안정한 신앙’, ‘자신감 결여’, ‘관계의 어려움’, ‘삶의 통제력 상실’, ‘반복적인 자살사고’, ‘중독 경향성’, ‘극복에 대한 기대’이다. 이와 같이 경계선 성격 장애 성향자가 경험한 공허감의 핵심에는 무에 대한 자각으로 정서의 마비를 경험한다. 즉, 좋은 대상 경험의 부재로 인하여 내적 구조가 파편화되어 정체성의 혼돈과 정서의 불안정성 및 관계의 어려움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들의 공허감 해소를 위하여 기독교적인 상담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여는 글
 II. 펴는 글
  1.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징
  2. 공허감
  3. 연구 방법
  4. 자료 분석과 연구 결과
 III.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순 Jae Soon Lee. 서울한영대학교
  • 김미경 Mi Kyung Kim. 서울한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