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ADHD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원문정보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DHD to Reduce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박윤정

피인용수 : 1(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hristian counseling started to help reduce psychological distress in children with ADHD and function in an adaptive lifestyle with the appeal of mothers who suffer from conflicts caused by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o verify whether the counseling method intervening to reduce the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DHD has an effect. Art therapy was conducted on children with ADHD as a strategic method for concrete realization, and it was combined with art counseling as an attempt of practical integration, utilizing Christian counseling resources. What impact it had on the children with ADHD would be discussed. The research method was constructed with single-case experimental design, ABA model as a method for emphasizing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proving the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irst, Children with ADHD cultivated positive emotions as they experienced the sufficient acceptance and purification of their emotions through art therapy. Second, As the characteristic symptoms of children with ADH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ve behavior decreased. Third, Mothers expanded the range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through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Mothers’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resulted in a virtuous circle.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ren was resolved.

한국어

본 연구는 아동의 문제 행동으로 갈등을 겪고 있는 어머니의 호소로, ADHD 아동의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키고 적응적인 생활방식으로 기능하도록 돕기 위해 출발한 상담의 효과를 증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입한 상담의 효과 유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으로서 연구대상자에게 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기독교상담 자원을 활용한 실제적 통합의 시도로서 기독교상담과 접촉하였다. 이것이 연구대상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임상적 유의성을 강조하고 치료 개입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일사례 실험설계인 ABA모형으로 구성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에게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기술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이 충분히 수용되고 정화되는 경험으로 인해 긍정적인 정서를 함양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특징적 증상으로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 행동은 감소되었다. 그리고 어머니는 부모교육 및 상담을 통해 아동에 대한 이해 수준의 범위를 확장시켜 아동과의 관계가 선순환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와 아동의 심리적 갈등은 해소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I. 여는 글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용어정의
 II. 펴는 글
  1. 이론적 배경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III.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정 Yoon Jeong Park.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