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era of Mongolian Yuan and Goryeo showed the most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dynasties in Chinese continent and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the two dynasties had earlier been in a brother-like relation, the international power structure where Yuan ruled over Goryeo influenced the marriages between the two royal families. Therefore, the kings of Goryeo resulted in becoming Mongolian sons-in-law. This custom of royal marriage, which continued for about a hundred years, started as a mutual benefit of the monarchs of the two dynasties. King Wonjong of Goryeo wanted to utilize matrimonial relationship as a means of deterring Mongolian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rely on Yuan power to solidify his royal family; Kublai Khan also agreed on starting this relationship and regarded it as a tool of including Goryeo, which took him many years of military campaign, under the umbrella of the Yuan hegemony. This kind of politically-driven marriage, in which a woman with the royal lineage of the stronger dynasty marries into a weaker family, is very rare in the Chinese history. As women from the Mongolian royal family marries into Goryeo, these queen consorts served as agents of Yuan Dynasty in the peninsula: they not only interfered in the internal affairs of Goryeo but also Mongolized the royal family of Goryeo. In cases of marriages that are arranged by each party considering one’s own interest only, we cannot expect happiness from the marital life between man and wife. However, the late period of the royal marriage between Yuan and Goryeo, that is the married life of King Gongmin and Queen Noguk, was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marriages. It possibly is the exceptional one and only case of conjugal harmony in all the cases of royal marriages. For this reason, this survey on the literature, aims to investigate this late period case of the royal marriage between the two dynasties from the spheres of the cause, the line of succession, marital relationship, politics, and culture.
한국어
중국과 한반도 간 소통이 가장 빈번했던 시기는 원-고려 시기이다. 일 찍이 두 나라는 형제의 관계였으나, 양국 왕실이 혼인관계를 맺을 때 국 력 상 몽골이 강하고 고려가 약했으므로 고려가 몽골의 부마국이 되고 말았다. 백 년 가까이 지속된 왕실 간의 이러한 혼인관계가 처음 시작된 계기는 고려 원종(元宗)이 혼인관계를 이용하여 원나라의 고려 정벌을 막고, 동시에 원의 세력을 힘입어 왕실을 공고히 하고자 함이었다. 한편 쿠빌라이 칸 역시 이러한 혼인관계를 통해, 몽골이 다년간 군사 원정을 시도했던 상대국인 고려를 원나라의 세력 하에 둘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강대국 왕실의 여성이 약소국의 가문과 혼인하는 정치적 정략혼인의 사 례는 중국사에서 매우 특이한 것이다. 몽골 왕실 혈통의 여성이 고려로 시집을 옴으로써, 이 여성들이 고려 내에서 원 왕조의 대리인으로서 역할을 하며 고려 내정에 개입했을 뿐만 아니라, 고려왕실의 몽골화를 초래했다. 그런데 이렇게 양측이 각각 자 신의 이득을 따져서 이루어지는 정치적 정략 혼인에서 결혼생활의 행복 을 찾는 것은 대체로 불가능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민왕(恭愍 王)과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간의 원-고려 말기 왕실 혼인의 경우 에는 이전의 혼인 사례와 같이 각자의 정치적 이익만 꾀한 형태에 머무 르는 것이 아니었다. 왕실 혼인에서 결혼 당사자가 정이 깊은 비익조와 같은 관계였던 것은 이 경우가 유일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기타 혼인 사례와 변별되는 매우 특수한 사례이다. 이에 본고는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원-고려 간 왕실 혼인의 말기인 이 사례를 명분, 왕위계승권, 부부 관계, 정치 및 문화의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Ⅱ. 魯國大長公主與恭愍王前的聯姻概述
Ⅲ. 恭愍王與魯國大長公主聯姻的特殊之處
Ⅳ. 結論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