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제2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제2차 교육과정기 ‘사회2’에 적용된 중학교 역사의 통합 방식과 검정 교과서의 내용 구성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the Syllabus and Textbooks for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박진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otion of a life centered curriculum, which was introduce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can be seen a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principles around which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was based. This can be exemplified by the fact that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 took a more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history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inter-relatedness of Korean and World history. In this paper, eleven government-approved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in use during the period of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a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extent to which the idea of inter-relatedness of Oriental, Western and Korean history are substantiated in the content of history textbooks at that tim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Most of units of the history textbooks examined in this study comprised Western history, Oriental history, and Korean history – but some key differences were found. Overall, the sequence of study in each unit follows a similar pattern – first featuring the content of World history, with that of Korean history coming afterwards. Although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specified the time span for each unit - for example, “the period of the Unified Silla, Goryeo, and Chosun dynasties should form one unit”, the coverage of one unit varied from one textbook to another. In addition to this,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elements of World history and those of Korean history varied across different periods covered by the history textbooks in question. For instance, the content of World history tended to have stronger presence in the period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Goryeo dynasty than in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t organizing principles around which the subject content for each unit in the textbooks were structured. Recently, there has been a renewal of interest in the issue of connecting national history with World history since the revis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history at lower-secondary level put an emphasis on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Therefore, more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development of organizing principles that will allow students to study national history within a wider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한국어

본고는 2차 교육과정이 경험 중심 교육과정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 합성을 강화하는 가운데 대단원 내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한 중학 교 역사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해방 후 꾸준하였던 경험 중 심 교육과정은 2차 교육과정 사회과에서 강화되었다. 이 방향에서 중학 교 사회과는 2학년에서 한국사와 세계사의 내용을 통합하여 구성하였 다. 통합은 대단원 내에서 한국사와 세계사의 내용을 연계하는 구성이어 서 한국사와 세계사가 분리된 다른 시기의 교육과정에 비해서 독특하였 다. 통합을 추구하면서 형태로는 중학교 2학년에 한국사와 세계사 내용 이 배정됨으로써 역사 단독으로 내용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 교육과정은 1963년 고시되어 1968년 부분 개정에서 대단원별로 전반부는 한국사, 후 반부는 세계사 내용으로 분리되기 전까지 적용되었다. 교육과정에 따라 11종의 검정 교과서가 발행되었다. 교과서들은 교육 과정에 제시한 내용 체계와 지도 내용을 준수했는데, 내용 구성에서 일 부 교과서는 단원 구성을 달리하거나 배열을 달리하였다. 통합의 방식은 대단원 수준에서 한국사와 세계사의 조합, 중단원 및 소단원 수준에서 세계사와 한국사 내용의 배열 순서 등을 고려하면서 서술한 점을 검토하 였다. 크게는 교육과정을 준수하면서도 검정 교과서별 특성이 드러나고 있었다. 이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기별로 구성된 단원 내에서 대체로 서양, 동양, 한국의 순서로 학습 하도록 했으나, 일부는 순서를 달리하기도 했다. 세계사를 학습한 후 한 국사를 학습하는 것이었다. 교육과정은 통일신라부터 조선까지 긴 시기 가 한 단원으로 만들었지만 일부 교과서는 시기별로 분리하였다. 세계사 내용이 많은 통일신라나 고려에 비해서 조선은 적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내용 전개의 특성에 따라 통합 구성을 달리하였다. 교육과정은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내용까지 제시하였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이전의 교류 및 관계사로 처리된 내용과 크게 차이가 없었다. 교 과서 서술에서도 전쟁과 교역, 문화 교류 및 상호 영향에 대한 내용들이 었다. 한국사와 세계사 통합의 시각에서 특별한 서술 내용은 확인할 수 없었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분리를 없애고 유기적으로 융합하는 통사형 편성 을 표방한 것으로 당시 용어로는 종합학습의 시도였다. 통상 시대구분과 그에 맞는 적정한 내용 구성과 배치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단원별로 통 합의 비중이 달랐고 배열 순서도 달라서 일정한 통합 원리를 찾기는 힘 들었다. 한국사를 중심으로 세계사를 연계한다고 했지만, 별개로 서술되 는 경우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한국사의 체계적 이해가 어렵다는 판단과 국사교육을 강화하려는 정책 속에서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 시도는 중 단되고 말았다. 이후 한국사와 세계사가 분리되어 한국사는 독립, 세계사는 사회과에 편제되는 속에서는 2차 교육과정기의 통합 경험을 돌아볼 이유가 없었 다. 하지만 현행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에서는 한국사와 세계사를 통합한 형태이므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하는 방안을 좀더 치밀하게 개발해 야 하고, 여기에 2차 교육과정기의 경험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학교 사회과의 통합 방식과 검정 교과서 발행
 Ⅲ.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한국사와 세계사 내용 통합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박진동 Park, Jin-Dong.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