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흡연자의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 : 폐암 및 담뱃갑 경고그림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Optimism Bias and the Third-Person Effect of Smokers : Lung Cancer and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

김봉철, 최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optimism bias of smokers’lung cancer and the third-person effect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 In specific, th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the main variables of Health belief model(HBM) --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nd self-efficacy — on optimism bias and the third-person effect. The study observ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bias and the third-person effect, but also their effects on respondents’ attitude toward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353 smokers, both optimism bias of smokers’ lung cancer and the third-person effect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 have been found. The empirical analysis of HBM variables found out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self-efficacy,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on optimism bias, and also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nd self-efficacy on the third-person effec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optimism bias and the third-person effect have not been found. Finally, the third-person effec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nonsmoking intention, but not optimism bias on nonsmoking inten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흡연자들의 폐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과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제3자 효과를 검증했다. 또한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변인인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이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가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총 353명의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결과, 폐암에 대한 낙관적 편견과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있었다. 또한 건강신념모형 변인 중 자기효능감, 지각된 장애성, 지각된 취약성만이 낙관적 편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제3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각된 유익성, 자기효능감, 지각된 장애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고, 낙관적 편견은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제3자 효과는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및 가설
  1)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
  2) 지각적 편향과 건강신념모형
  3) 낙관적 편견과 제3자 효과의 관계
  4) 지각적 편향과 행동요소의 관계
 3. 연구방법
  1) 조사 대상자 선정 및 조사방법
  2) 주요 변인의 측정
  3) 통계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응답자의 특성
  2) 주요 변인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3) 가설 및 연구문제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봉철 Kim, Bong Chul.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최영준 Choi, Young Jun. 조선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