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공공브랜드의 공동선(Common Good) 구현 특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ization of Public Brands’ Common Good

최보람, 김유경, 강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attempting imag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 but the existing image evaluation method has failed to properly reflect public institution's own identity,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common good as a differentiated identity component of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a theoretical discussion, and analyzed the implementation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common good and common good(public conflict resolution) that reflects specificity of public institutions for scaling. As a result, 6 factors; credibility, procedural fairness, coordination, generosity toward diversity, communication, action and 18 items were extracted for the common good implementation characteristic scale of public brands, and the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diverse case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social integration and smooth administrative performance by enhancing the necessity of existence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 values, and inducing public institutions to form solidarity with citizens and various organizations as community members.

한국어

효율적인 정책 입안을 위해서, 국내 행정 기관은 브랜드 관점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다루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현재 이미지를 평가하는 방법은 행정 기관의 아이덴티티를 적절히보여주지 못했는데, 이는 다른 브랜드와 차별되는 방법을 보여주어야 하는 것에서 실패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공동선이 공공 기관의 아이덴티티 구성을 차별화한다고 상정했을 때, 그실행력을 설명하고 아울러 이론적 함의를 바탕에 두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보편적인 공동선과 공동선(공공 갈등 해소)이라는 점을 설명하려고 했고, 이는 공공 기관의 스케일링 측도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6개의 요인들: 신뢰도, 절차적 정당성, 다양성에 대한 관대함, 커뮤니케이션, 실행력 그리고 여기서 18개 아이템이 공공 브랜드의 스케일에서 공동선의 실행력을 착출해낼 때 나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론적, 실질적 의미가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논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결론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통합과 공공 브랜드의행정력 측도에 대해서 연관 지었는데, 이는 공공 기관과 그 가치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다. 시민들의 결속을 형성하기 위해 공공 기관을 포함하고 이와 함께 커뮤니티 회원들을 위해 다양한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목차

요약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논의
  1) 공공브랜드의 대두와 관련 연구 경향
  2) 공공브랜드 정체성으로서 공동선의 필요성
  3) 공동선의 개념과 일반적 특성
  4) 공공브랜드의 공동선
  5) 공공브랜드의 공동선 구현 특성 차원과 기대효과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 절차
  3) 문헌연구
  4) 심층인터뷰(전문가 및 일반인)
  5) 예비 조사
  6) 조사 대상 기관 선정
  7) 본 조사
 4. 연구 결과
  1) 문항 정제(신뢰도 분석) 및 요인 구조 탐색
  2) 척도 타당도 검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교차타당도
  3) 측정 문항 최종 제안
  4) 예측타당도 검증
 5. 결론 및 함의
 6. 연구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보람 Choi, Bo-ram. 더불어 민주당 민주연구원
  • 김유경 Km, You-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강소영 Kang, So-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