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와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17-18세기 ‘老北京’의 풍경

원문정보

Old Beijing's Landscapes as the Space of History and Culture-Art in the 17-18th Century

역사와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17-18세기 ‘노북경’의 풍경

최형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nchu conquered China in 1644 and ruled over for more than 260 years until 1911. The Manchurian entry into Beijing produced much changes. I would like to approach the city of Beijing as the space of the history and culture-art in this paper, and to apprehend various changes of the Qing capital Beijing.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 tried to write the history of records about Beijing through examining about 11 reference books. For example, Xiong Meng-xiang(熊夢祥)’s Xijinzhi(析津志) in Yuan dynasty was the first local chronicles and systematic record about Beijing. Yingleti(永樂帝) built Zijincheng(紫禁城) in the early 15th century, and transferred the capital from Nanjing to Beijing. Records about Beijing became more and more increasing since the 16th century. Especially I wrote the history of records about Beijing focusing on changes from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in second chapter. Second, I examined the changing profile of the city after the Manchu entering into Beijing. The Eight Banners(八旗軍) were stationed in inner Beijing castle to ensure safety for imperial family and aristocracy in the early Qing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Han Chinese must to move to outer Beijing castle. The Manchurian distinct street names also appeared reflecting this circumstance. I tried to explain changes of the Qing capital Beij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space in third chapter. Third, I attempted to show Beijing’s various aspects as cultural and artistic space in fourth chapter. Many literary man recorded memories and images of Beijing in their works such as Wang Shi-zhen(王士禎)’s Xiangzubiji(香祖筆記), Dai Lu(戴璐)’s Tengyinzaji(藤陰雜記), Ji Yun(紀昀)’s Yueweicaotangbiji(閱微草堂筆記) etc. Based on these works, I reconstructed the celebrities’ homes, the street of theatres to be served tea and meals, and popular bookstore street on maps attached in Wu Chang-yuan(吴长元)’s Chenyuanshilue(宸垣识略)(1788).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city of Beij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ties, and to explain how the capital Beijng changed in the Qing dynasty as a whole, according as the Manchu and the Han lived together since 1644.

한국어

본 연구를 통해 滿洲族이 통치하던 淸朝(1644-1911) 전반기, 제국의 수도 북경의 변화된 모습을 살펴보고 당시 문인들의 글 속에서 그려지고 있는 ‘老北京’의 풍경을 재현해 봄으로써, 독특한 시대상을 반영하는 역사와 문화예술의 공간으로서 도시의 성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략 14-18세기까지 대표적인 작품을 선별하여 북경에 관한 기록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특히 청대 전반기를 順治(1644-1661)․康熙(1662-1722)의 제1기와 乾隆(1736-1795)의 제2기로 구분하고, 17세기에서 18세기로 이행되면서 어떤 변화가 발견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도시를 ‘역사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청대 북경이 만주족의 수도가 되면서 나타난 변화상을 분석하였다. 크게 ‘旗民分居’ 정책으로 만주족과 한족이 각각 내성과 외성에 분리 거주하게 한 상황과 그것이 가지는 의미, 그리고 만주족과 관련하여 새롭게 생겨난 지명을 통해 17-18세기 북경의 변화상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로 한족의 공간이었던 외성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17-18세기 북경의 풍경을 재구성해 보았다. 명사의 고택, 공연예술의 거리, 출판문화의 거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吳長元의《宸垣識略》에 수록되어 있는 당시 북경 지도와 연계하여 설명하였다. 이 글은 도시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려는 하나의 시도이자, 도시 북경을 통해 17-18세기 중국 사회의 일면을 새롭게 이해하고, 지금까지의 ‘老北京’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1. 머리말
 2. 북경에 대한 기록의 역사
 3. 역사 공간으로서의 청대 북경
 4.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북경의 풍경
 5.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최형섭 Choi, Hyoung-seob.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