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청의 전통 문양과 프로젝션 매핑을 접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작 연구 - 작품 “이 순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Using Traditional Symbols of Dancheong and Projection Mapping in Interactive Media Art - Based on the Work “this moment”

문정혜, 김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putting value in media art which reflects contemporary perspectives and technology, we suggest a way to present traditional culture in the current time by combining media art such that it extends the times and spaces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 case study and a literature review, three strategies for combining media art and traditional culture are derived. These are the appropriation of content, remediation of symbols and interface remix. During the process of combining projection mapping and traditional culture,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three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various purposes, such as a spatial application to traditional buildings, reproductions of traditional events and origins, restorations of remains, and expressions of traditional values. Projection mapping in which images and video are superimposed onto the surface of various types of architecture or objects for expressive purposes is conceptually very similar to Dancheong. Dancheong, referring to 'drawing by light', intersects with projection mapping, which is in fact the spatial mapping of light transforming space into an immersive and illusionary subject. In order to present the expanded aesthetic possibility of media art as well as a means of presenting traditional culture in a contemporary manner, we continued to design an interactive media art work, entitled 'this moment' which utilizes the symbols of Dancheong and projection mapping. The work appropriates the story of Nirvana in Buddhism and that of wishing for blessings in traditional beliefs. Remediation of symbols takes place in the meaning and technique of Dancheong, which is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installation. The resulting space is illusionary and immersive, resulting in an interface remix. In addition, the work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ases of combining projection mapping and media art in how it is a user-participatory form of interactive media art in which space is transformed by the active interaction of the use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기술과 인식, 문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시공간을 확장하는 미디어아트를 전통문 화와 결합함으로써 전통문화의 현재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미 디어아트와 전통문화의 결합이 지니는 결합 전략의 유형과 그 의미를 콘텐츠의 전유, 상징의 재매개, 인터페이스의 리믹스 전략이라는 주요 유형으로 도출해 냈다. 또한 이 세 가지 결합 전략이 프로젝션 매 핑과 전통 문화의 접목 과정에서 전통 건축물의 공간적 활용, 전통적 행사와 기원의 재현, 유적의 복원, 전통적 가치관의 표현 등의 목적에 다양하게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빛으로 그리는 그림의 의미가 내재된 단청문양이 빛의 투사를 통한 공간적 매핑, 몰입과 환영을 추구하는 프로젝션 매핑의 방식과 미 학적 공통점이 있다고 보고, 그 둘의 결합을 통해 전통문화의 현재화와 확장된 미디어아트의 미학적 표 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에서 전통적 단청문양을 프로젝션 매핑의 기법을 통해 인터랙 티브한 미디어아트로 구현한 작품 ‘이 순간’은 종교적 깨달음과 축복의 공간을 현대적 방식으로 재현하 고 있다. 작품은 불교와 전통신앙의 깨달음과 수복의 콘텐츠를 전유하고, 단청문양을 프로젝션 매핑으로 재매개한다. 이를 통해 작품은 환영적이고 몰입적인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인터페이스의 리믹스를 이룬다. 또한 단지 관조하는 것이 아닌 관객의 주체적 개입에 의해 공간의 변화가 일어나는 참여적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라는 점에서 기존의 프로젝션 매핑과 전통문화의 결합 방식과는 차별적인 의의를 지닌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방법
 2. 미디어아트와 전통문화의 결합과 그 의미
  2.1 선행 연구와 사례
  2.2 전통문화의 전유와 재매개, 그리고 리믹스를 통한 시공간적 확장
 3. 프로젝션 매핑과 전통 문화의 접목 사례와 가능성
  3.1 프로젝션 매핑의 미적 특성
  3.2 프로젝션 매핑과 전통문화의 결합 사례
  3.3 단청문양과 프로젝션 매핑의 접목가능성과 미학적 의미
 4. ‘이 순간’ 작품구현 및 연구
  4.1 기획의도
  4.2 단청 문양 디자인
  4.3 재질과 공간 구성
  4.4 영상 제작
  4.5 인터랙션 구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정혜 Moon, Jeong Hye.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 뉴미디어학부
  • 김현주 Kim, Hyun Ju.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 뉴미디어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