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

원문정보

The Educational Aspect of "Hyo" in Buddhism

강기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s written in purpose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aspect of Buddhism regarding the "Hyo"(孝) ethics, referencing various korean-translated buddhist texts as primary materials and existing Hyo-related research papers as secondary materials. Chapter II of this essay explores the definition of Hyo and its ethics portrayed through Buddhism's viewpoint, examin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Hyo followed by how its ethics are described within various buddhist scripts. Chapter III examines its educational aspects, focusing firstly on Hyo ethics origins from benevolence, respect, and great compassion, then secondly on the deeds of Hyo as part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Thirdly, the act of returning the kindness(報恩思想) based on the equality is examined. Lastly, ways of practicing Hyo for returning one's parents kindness(父母報恩孝行) is analyzed. As the result, The core function of Hyo presented within the scripts can be summarized into 5 parts. First, the application of Hyo ethics differs between monks and regular believers. Second, both parents and children should do their best as independent person, as well as respecting each other with the spirit of benevolence - which is the first virtue of Samuryangsim(四無量心). Third, the script points that human beings are not isolated entities, but rather beings that are intimately connected throughout the cycle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Such viewpoint is unique to the buddhism, as it is hardly seen in any other reigion. Fourth, the idea of Hyo within buddhism is completely horizontal virtue, where parents and children interact as equal human beings rather than forming dominance-obedience relationship. Therefore, the most distinctive trait of Hyo explained within buddhism is that it takes equal viewpoint, relating the expression of mercy and humanism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circulation of Pratītyasamutpāda(緣起). However, despite the nuance implied within such characteristics, the real practice of Hyo is that to let one's parents believe in Three Treasures(三寶), help them achieve Zen, and guide them towards it. This is because, the true goal of Hyo is that to Liberate one's parents from the torment of cyclling through six worlds(六道輪廻), and lead them towards the eternal freedom if enlightmen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dimming humanity that the modern era societies are facing,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and practice the Hyo ethics of Buddhism within the fundamental domestic education.

한국어

이 논문은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을 연구목적으로, 1차 자료인 불교의 한역원전을 주 텍스트로 , 2차 자료인 효 관련의 선행연구서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본 연구는 제Ⅱ장에서 孝의 定義와 佛敎에서 바라본 孝 倫理를 첫째, 孝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살펴보고 둘째, 佛敎經典에 보이는 孝의 倫理에 대하여 살폈다. 제Ⅲ장에서는 佛敎孝倫理의 교육적 특성에 대하여 첫째 慈愛와 恭敬과 진정한 大悲心의 發露에서 행해지는 효 윤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순일한 緣起的孝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는 평등심에 입각한 報恩思想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넷째는 父母報恩孝行의 방법에 대하여 분석해보았다. 이들을 살펴보았을 때, 불교경전에서 제시하는 효도의 핵심역할은 크게 5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불교의 효 기능은 출가자와 재가자가 행해야 될 역할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둘째, 부모와 자식 양자가 개별적 인격체로서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야 하며, 사무량심의 첫 번째 덕목인 자애〔자무량심〕를 중심으로 평등한 보시의 마음으로 부모님을 공경하고 효순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우리 인간은 각각이 독립된 존재가 아닌 순환하는 緣起的관계이기 때문에, 각자는 緣起의 순일한 수행의 효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다른 종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연기적 효행관이다. 넷째, 불교의 효는 신분적인 상하의 윤리와 지배복종의 관계가 아닌, 자식과 부모 양쪽모두가 평등한 인간적인 입장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수평적 윤리도덕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효 윤리는 평등한 관점과 대비심의 發露로서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 부모와 자식 간의 자애와 공경을 순일한 연기적 관계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다섯째, 이러한 특징적 함의에도 불구하고 더 중요한 것은 불교적 관점의 진정한 효도란 부모로 하여금 삼보를 믿게 하고, 成佛하도록 도와주고, 인도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부모를 六度輪廻의 괴로움에서 해탈시켜, 영원히 생사에서 자유자재한 안락한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 자식으로서, 부모에 대한 참된 효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오늘날 봉착하고 있는 인간성의 상실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기본사회인 가정질서의 확립에 불교의 효 윤리를 적용․실천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효의 정의와 불교에서 바라본 효 윤리
  1. 孝에 대한 일반적 정의
  2. 불교경전에 보이는 孝의 윤리
 Ⅲ. 佛敎孝倫理의 교육적 특성
  1. 慈愛와 恭敬, 大悲心의 發露
  2. 순일한 緣起的孝行
  3. 평등심에 입각한 보은사상
  4. 父母報恩孝行의 方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기선 Kang, Ki-Sun.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