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동아시아 인성 코드 – 효를 논하다

동아시아 소통 공감의 인성코드 효문화 탐색 - 전통적 효개념의 다의성과그 사회적 적용 가능성 검토 -

원문정보

HYO Culture for social communication in East Asia

김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 on the traditional Filial piety(HYO: Harmony of Young & Old, 孝). It is true that most religions, cultures, and even some ideologies were at least partially based on HYO spirit.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HYO has shown some negative aspects, especially during the authoritarianism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HYO which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Korean society. Three aspects of HYO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First, HYO may be understood as a few different meanings, such 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socioeconomic. HYO, of course, includes the ethical valu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is study some socioeconomic values were also discussed. Second, traditional HYO usually means that children obey their parents. However, some classical literature reported that disobedience could also be HYO. This literature suggested that the disobedience due to the rationality and consideration of others could a way to express a variety of HYO. In patriarchal social order, only obedience was HYO. In this social system, the sacrifice and obedience of children were forced by the social system. Interestingly, during the same time period, some people were against this traditional HYO. This new movement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inally, when HYO and Confucianism were merged, the favoritism by blood, school, regional and even vocational connections caused lots of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society. This study discussed not only this negative aspect of HYO, but also some positive roles of HYO even in the Confucianism dominated society. We now live in a multicultural, multiracial and welfare society. If the HYO spirit was combined properly in this society, HYO may help advance the society with social norm, which may be safer and more valuable.

한국어

효사상은 모든 종교·문화·사상의 저변에 깔려 있음에도 전통적 효에 대한 오해가 심하다. 효의 규범적·사회적·경제적 효과가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많다는 지적이다. 권위주의 시절 이데올로기로 활용된 효의 역기능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인의 ‘집합의식’ ‘사회자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효정신이 과연 부정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을까? 거기엔 이 사회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또 작용할만한 가치는 없을까? 여기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 치중했다. 첫째, 효개념의 다의성을 인문적·사회적 가치차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았다. 효를 단지 부모자녀간의 윤리적 차원에서만이 아닌 좀 더 다양한 가치를 두고 정리해 본 것이다. 둘째, 전통적 효를 보통 부모 말씀에 순종·복종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될 수 있음을 고전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합리성을 전제로 하는 상황에 따라 때론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됨을 찾으면서 효의 다의성을 확인하는 일이었다. 가부장적 권위주의 시절에는 이치에 어긋나더라도 순종과 복종이 효라고 생각했지만, 그래서 일방적인 헌신·봉사·희생을 강요당했지만, 이미 당대 그렇지 않은 합리적 논의가 있었음을 확인 정리하였다. 셋째, 효문화가 유교적 가치와 맞물려 혈연주의·연고주의의 폐단을 가져오긴 하였지만, 한편에선 근현대사회 ‘사회자본’으로 긍정적 역할도 하였다는 것이다. 기독교 윤리가 서구 자본주의 정신으로 작용하였다는 막스 베버의 이론에 근거, 동북아시아에서는 유교가 급속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고, 그 가운데 특히 ‘기억과 재현’(추모와 제사)으로 표현될 수 있는 효문화가 중요한 정신적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현대 오늘날 우리사회의 다문화·다민족사회 소통 공감코드로 효문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복지지향의 사회에서 복지를 보완할 정신적 가치로서 효문화가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해 보았다. 한국사회가 효복지사회로 가야할 의미와 내용을 생각해 본 것이다. 현대적 관점에서 심각한 폐단과 문제를 낳았던 효문화, 노동집약적 농경사회의 가족윤리에 기반 했던 효사상이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왜 다시 필요한가를 정리한 것이다. 복지사회이자 다문화·다민족사회에서 효가 갖는 규범적 의미와 사회 통합적 소통·공감의 가치를 찾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보려는 뜻이다.

목차

<요약>
 Ⅰ. 왜 다시 효인가?
 Ⅱ. 합리와 불합리를 넘나드는 효
  1. 헌신·봉사·희생의 전통적 효
  2. 상황에 맞게 처신하는 권도의 효
  3. 순종, 불순종의 변주곡 효
 Ⅲ. 사회발전 속 효문화의 빛과 그림자
  1. 효, 사회자본
  2. 경제발전의 동력, 효문화
  3. 다문화사회 소통과 공감의 효문화
  4. 가족복지와 효문화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덕균 Kim Duk-Kyu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