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희곡 각색 교육의 내용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Drama Adaptation - Focused on a primary school -

오판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text book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sixth grade provides the dramatization of stories. There are problems discovered from Seoul 00 primary school's pupils' dramatized scripts. This study examines what these problems are and how to design the process of dramatization. The examination of pupils' scripts demonstrates problems as follows. Firstly, pupils are not creative and active during dramatization because of the frame of the original version. They lack creative and critical thoughts which are based on cause and effect during dramatizing process. Besides, They have difficulty to capture the gist of script and rewrite the story focused on this gist. They tend to dramatize the original story repeating the storyline. And there are some lines which do not suit scripts since they do not ha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y. Secondly, they do not discriminately understand story text and play text. The difference of lines and actions, act and scene are not appropriately dealt with as well. The explanation and description used in story texts are employed in script texts and signs used in movie scripts are also employed. Finally, the introduction of script is not suitably tackled either. Find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pupils need to know that pupils' perspectives to interpret the original story is selective; the gist of script can be also selected from the original story; appropriate lines should be selected. In terms of form, pupils nee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story text and play text, signs and rules of play text and how to start play text.

한국어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는 동화를 희곡으로 각색하는 교육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공부한 k초등학교 학습자들이 각색한 희곡을 살펴본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교육 내용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학습자들이 만든 희곡을 분석한 결과, 내용에는 학습자들이 원작의 무게에 눌려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원작을 대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가 희곡의 핵심을 파악하여 이를 중심으로 재구 성하는 활동 또한 결여되어 있었다. 그리고 희곡에 어울리지 않는 대사표현도 발견되었다. 둘째 형식에 서도 서사 텍스트와 희곡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다. 대사와 지문의 차이, 막과 장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사례였다. 끝으로 희곡의 도입 부분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여 부실하게 소개하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희곡 각색 교육의 내용으로 내용 측면과 형식 측면에서 대안을 제시하였 다. 내용으로는 첫째 원작을 바라보는 학습자의 관점이 선택의 문제라는 점, 둘째 희곡의 핵심 내용 또 한 원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점, 셋째 내용에 어울리는 적절한 대사 표현을 해야 한다는 점을, 형식으 로는 첫째 서사와 희곡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는 점, 둘째 막과 장 등 희곡에서 사용하는 기호 와 규칙을 이해해야 한다는 점, 셋째 희곡의 도입 부분에 희곡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히 포함해야 한다는 점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릿말
 Ⅱ. 용어의 개념 및 연구 자료
  1. 용어의 개념
  2. 연구 자료
 Ⅲ. 희곡 각색 과정에 나타난 문제
  1. 희곡의 내용적 측면
  2. 희곡의 형식적 측면
 Ⅳ. 희곡 각색 교육의 내용
  1. 희곡의 내용 측면
  2. 희곡의 형식 특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판진 Oh, Pan-Jin. 이화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