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model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 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of martial arts athletes in university. To this end, samples of martial arts athletes in university who registered in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in 2017 were collected. The sample size was 228. Statistical methods used in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internal consistency among questions, reliability verifi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elation analysis using SPSS Win Version 21.0 program. Moreov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0 program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 management. Second,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ort confidence. Third,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self man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port confidence.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 무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 및 스포츠자신감의 관계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무도관련 대학교 운동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228명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 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각 변인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무도선수의 성취목표 성향은 자기관리에 정(+)적 영향을 주는 기재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 무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스포츠자신감 에 정(+)적 영향을 주는 기재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 무도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자신감에 정(+)적 영향을 주는 기재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관계 및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신뢰도 및 타당도
4. 연구절차 및 자료처리방법
Ⅲ.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측정모형 검증
3. 가설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