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 考察을 통한 孔子의 位相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f Position of Confucius along with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s Munmyojerye

한국 문묘제례의 변화 양상 고찰을 통한 공자의 위상 연구

이하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s ‘Munmyojerye’ and the change of position of Confucius along with it. Munmyojerye refer to “the ceremonies performed for the Confucian saints and disciples, including King Munseon at the shrine” and are also known as ‘Seokjeonje’. In Korea, the Confucian philosophies have become the foundation of national government and civil awareness and the ceremonies were highly important as they could visualize the philosophies. Confucius, known as the founder of Confucian studies, was the leader of many scholars and a symbolic character, so his position is inseparable from the change of Munmyojerye. Korea’s Munmyojerye involved continue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shrines in the early years during the Goryeo Dynasty. Considering the scale and situation of Munmyojerye. However, their position changed greatly with the acceptance of Neo- Confucianism. Joseon’s shrines and ceremonies underwent a series of expansion and shrinkage and the position of Confucius continued to change to rise during the mid years and shrink again in the later year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rough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s Munmyojerye: First, Goryeo and Joseon were the times that were studied to examine the changes of Korea’s Munmyojerye and what those ceremonies pursued during both times were keeping the original format of early ceremonies in the Song and Yuan Dynasties. Second, Goryeo was an important point of time through which we can examine the Munmyojerye during the reign of five kings: Seongjong, Yejong, Injong, Chungnyeolwang, and Gongminwang. Joseon was a time through which the ceremonies changed during the reign of five kinds: Taejo, Sejong, Jungjong, Seonjo, and Sukj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change of these ceremonies were national crises such as warfare or invasions. Third, how Goryeo and Joseon accepted the shrines and the ceremonies were very subjective. At that time, Goryeo and Joseon were intervened by China, but they did not accept the changes of China after accepting the shrines and ceremonies. This clarifies that the position of Confucius was different in Korea and in China. Fourth, the position of Confucius through the change of Munmyojerye in Korea changed significantly comparing the Shilla Unification and early Goryeo when the ceremonies were first introduced and after the ceremonies were settled. As a result, the position of Confucius in Korea continued to rise until the foundation of Korean Empir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을 考察하고,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孔子의 位相에 대해 살피는 것이다. 한국에서 유교사상은 국가의 통치규범이자 국민의식의 토대가 되었고, 문묘제례는 이런 사상을 가시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유학의 창시자라 불리는 공자는 수많은 중국의 성현들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가진 인물로 공자의 위상과 문묘제례의 변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한국 문묘제례의 유입 초기인 고려시대에는 문묘의 설치와 정비를 거듭하는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의 문묘의 규모와 설치 상황, 문묘제례의 시행에 대한 기록을 보면 당시 공자의 위상은 그리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자학의 수용기를 기점으로 문묘와 문묘제례의 입지는 크게 달라진다. 조선의 문묘와문묘제례는 축소와 확장을 거듭했는데 그에 따라 공자의 위상이 중기에는 계속해서 고조되다가 후기에는 다시 축소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문묘제례의 변화에 따른 공자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사적 변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한국 문묘제례의 특징을 확인할 수있었다. 첫째, 한국 문묘제례의 변화에 중심이 되는 시대는 고려와 조선이라 할 수 있고, 당시의 문묘제례에서 공통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점은 문묘제례의 유입 초기에 수용했던 송과 원의 제례원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둘째, 고려는 성종·예종·인종·충렬왕·공민왕의 5왕조가 문묘제례의 변화를확인할 수 있는 핵심 시점이며, 조선은 태조·세종·중종·선조·숙종의 5왕조가 문묘제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묘제례가 변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전쟁, 혹은 외세의 침략과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을 꼽을 수 있다. 셋째, 고려와 조선에서 문묘와 문묘제례를 수용하는 태도는 매우 주체적이었다. 고려와 조선은 중국에 사대하는 처지에 놓여 있었으나 문묘와 문묘제례의 유입 이후 중국의 변화를 맹목적으로 수용하지는 않았다. 이로써 한국과 중국에서공자의 위상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문묘제례의 변화를 통해 살핀 공자의 위상은 문묘와 문묘제례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통일신라 혹은 고려 초기와 문묘제례가 정착된 이후에 상당히 달라졌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서 공자의 위상은 유입의 시점부터 대한제국의 건국 때까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Ⅱ.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
  1. 文廟祭禮의 流入
  2. 高麗의 文廟祭禮
  3. 朝鮮의 文廟祭禮
 Ⅲ.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 考察을 통한 孔子의 位相
  1. 韓國 文廟祭禮의 核心的 變化의 時期와 그 要因
  2. 韓國 文廟祭禮의 變化 樣相과 孔子의 位相 變化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하나 Lee, Ha-na. 고려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