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통일 25년, 구동독지역 정치지형 변화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after 25 years of its reunification

김면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grasp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since the reunification. Political landscape structured in the former East Germany primarily reflects East German's evaluation of the reunified Germany. Unlike other East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transformation of the East Germany took place in parallel with the reunification of divided two Germany. This means complete dependance on its 'rich Western brother', which constitutes outstanding features of its transformation. This is, in turn, a primary reason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relation with the former We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since the reunification. New political landscape in the former East Germany was mainly reflected in the outcomes of the Budestag as well as Landtag elections. Its progres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evel and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followed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first place.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mised at the time of reunification was not fulfilled. Thus, the deepening awareness of differences in the former East Germany was the making of its own political identity. This furthered the necessity of a strong political forces representing its own interests, and eventually led to the rapid rise of the leftist party, Die Linke, in the former East Germany in the past 25 years. The issue is whether this distinctive political landscape supported by the East Germans' political preference will be sustained in future. At presen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improves with their lessening sense of differences as well as isolations. Thus, we can expect that the current political landscape representing its own political identity will eventually decline in the former East German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이후 25년간 구동독지역에서 진행된 정치지형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에 조성된 정치지형은 주로 통일 독일에 대한 구동독주민들의 평가가 반영되어 나타난다. 동유럽 사회주의국가와 달리 동독의 체제 전환 과정은 분단 독일의 통일과정과 함께 진행되었고, 경제 부국이었던 ‘맏형’ 서독에 전적으로 의존한 독특한 과정이었다. 통일 이후 지난 25년 동안 진행된 구동독지역 정치지형의 변화 과정과 그 특징을 구서독지역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파악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통일 이후 새롭게 조성된 구동독지역의 정치지형은 주로 연방 및 주의회 선거 결과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구동독지역의 정치지형 변화 추이는 정치통합 이후 전개된 사회통합 수준 및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통일 당시 약속된 사회통합의 속도와 방향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동·서독 간에 심화된 이질감은 구동독지역만의 정치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이는 구동독지역의 이해를 대변하는 강력한 정치세력의 필요성으로 연결되어 나타났고, 그 결과 통일 이후 지난 25년 간 구동독지역에서 좌파당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앞으로의 관심은 구동독지역 주민만의 독특한 정치적 선호와 그에 따라 형성된 정치지형이 지속될 것인가에 있다. 통일 독일사회에 대한 구동독주민들의 만족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고, 구서독지역 주민과의 이질감 또한 점차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구동독지역만의 정체성으로 응집되어 나타나는 정치지형의 모습은 점점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구동독주민의 만족도 변화 추이
  1. 통일독일의 사회통합 현황과 만족도
  2. 통일 정치체제에 대한 구동독주민의 만족도와 정치참여 현황
 III.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의 정치지형 변화 추이
  1. 연방의회 선거와 구동독지역 주민의 투표 성향
  2. 주의회 선거와 구동독지역 주민의 투표 성향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면회 Kim, Myeon Hoei.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