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조국이란 무엇인가 : 귀국1.5세 재일탈북자의 구술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What is Homeland : Based on the Oral Histories of the Returnee-refugees

김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bout the life histories of Japan’s community of returnee-refugees (dappoku-kikokusha; zainichi-dappokusha). The returneerefugees usually migrated from Korea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turned back to North Korea between 1959 and 1984, and then sought asylum in Japan after the middle of the 1990s. During three generations, they followed the route of ‘Korea (Chosen)-Japan-North Korea-Japan’. This article particularly focuses on the life histories of three members who migrated to North Korea as youths and returned back to Japan after spending most of their life in North Korea. The Jeju uprising was the reason ‘K’s mother initially evacuated to Japan, while racial discrimination in Japan was the reason ‘C’ and ‘S’ families returned to North Korea. ‘K’ who received aids from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xperienced more discrimination than ‘S’ did. According to K’s report, there was discrimination towards immigrants from Japan in North Korea; however, the interview with ‘S’ indicates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ir general conditions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returnee-refugees had a difficult time living in Japan because they received no support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uld not even mention North Korea as their country of origin due to the its image. It was also difficult for them to assimilate with the old-timer Korean society in Japan. This article explores the irrationality and violence of social systems under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toward the returnee-refugees. It points out that the returnee-refugees have been exploited or forgotten in political perspectives without considering other social sides the refugees encountered with. Therefore, the article focused on prevalent social irrationality, and investigated further to discover the problems of the social systems affecting the lives of the returnee-refugees by interviewing three returnee-refugees in depth. Furthermore, it emphasized the irrationality of the social system accounted by the life histories of three returnee-refugees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ir immigration routes and sensed absence of ethnic roots.

한국어

재일탈북자는 주로 식민지시대에 도일하여1959년부터 1984년까지의 귀국사업으로 북한에 귀환한 재일조선인이나 그 가족들로, 1990년대 중반 이후에 탈북하여 일본에 정주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식민지조선-일본-북한-일본’이라는 경로를 세대에걸쳐 이주해왔다. 본고는 유년시절 일본에서 북한으로 건너갔다가 탈북 후, 다시 일본에 정주한 귀국1.5세 재일탈북자3인의 구술을 통해, 이들의 이주 경로를 중심으로 한각 사회의 부조리에 주목한다. 연구참여자 K씨의 어머니의 도일계기는 ‘제주4.3사건’이라는 냉전체재 아래의 국가의 폭력이 있었고, C씨와 S씨의 가족이 북한으로의 귀국한 요인에는 일본사회의 재일조선인 차별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것처럼 북한에서도 정치적 사회적으로귀국자를 차별해 왔다. 더욱이 탈북 후 일본생활에서도 정주상의 어려움뿐만 아니라‘북한에서 왔다’는 사실을 이야기하지 못하는 환경 속에 놓여지게 되며, 귀국 이전에속해있었다고 할 수 있는 재일조선인 사회에도 융화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본고는 한국과 북한, 일본 사회의 재일탈북자를 향한 편견과 차별에 내재되어 있는부조리에 대해 주목하고 그 어느 곳도 이들에게 ‘조국’과 같은 장소가 되지 못한 것을지적한다. 오히려 정치적인 대립 속에서 ‘필요’에 따라 이들의 존재가 ‘소비’되거나‘망각’되는 사회시스템의 문제에 대하여 논한다. 이러한 이유 중의 하나로 식민주의와냉전체제 아래에서 형성된 사회시스템의 ‘폭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가재일탈북자와 관련된 모든 사회에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1) 선행연구
  2) 귀국1.5세 재일탈북자라는 존재
 2. 구술인터뷰 경위 및 과정: 재일탈북자 구술의 ‘소비’에 대한 문제
 3. 재일탈북자의 이주경로에서 보는 ‘조국’
  1) 어머니의 고향, 조선
  2) 태어난 곳으로써의 일본
  3) 삶의 터전으로써의 북한
  4) 다시, 일본에서의 삶
  5) 돌아가지 않는 ‘조국’, 한국
 4. 부조리한 ‘것’으로서의 ‘조국’
 5. 결론을 대신하여: 재일탈북자의 아포리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여경 Kim, Yeokyung. 일본 도시샤대학대학원(Doshisha Univ.) 사회학연구과 박사후기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