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questions of how to study locality in the era of deterritorialization of culture and whether new towns constructed with new regional boundaries have their own locality. In pursuit of answering such questions, the author takes Tongtan New Town in Hwaseong City which was built in 2001 as a case to examine. First, the author reviews the previous locality studies and discusses their limitations. Then she introduces the historical anthropology approach accompanied by field works and oral history interviews to study the locality of Tongtan New Town. Through this method, the author analyz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ongtan and the life world of its residents, illustrating the new town’s locality and the residents’ local identity. Finally, the author intends to connect the results of locality studies and new town studies through a comparative cultural analysis of Tongtan in terms of development course, population fluctuation, and local identity with Gwacheon New Town built in the late 1970's. This study as a result will make a contribution to widen the horizon of local history studies whose core lies in delving into locality.
한국어
이 연구는 문화의 탈지역화 시대에 지역성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그리고 지역적경계가 새롭게 만들어진 신도시는 지역성이 있는가하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화성시 내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고자 한다. 필자는 우선 기존의 지방사 연구 중에서 지역성을 다룬 연구들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신도시의지역성을 접근하기 위해서 현지조사와 구술사 인터뷰를 동반하는 역사인류학적 접근방식을 소개한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필자는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기 위하여 신도시의 역사적 맥락과 주민들의 생활세계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동탄 신도시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지역정체성과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1970년대 말 신도시인 과천시와 비교문화적 분석을 통하여 지역성 연구 성과와 신도시 연구를 연결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지역성 연구가 핵심인 지방사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지역성 연구 성과와 한계
3.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에 대한 접근 방식: 역사인류학적 접근
4.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1) 역사적 맥락
2) 화성시 내에서 동탄 신도시의 위치
3) 생활세계
4. 동탄 신도시 주민들의 지역정체성
1) 남을 사람들: 동탄면 사람들, 동탄 신도시 주민
2) 떠날 사람들: 일시적인 거주자
5. 동탄 신도시의 지역성
1) 베드타운인가 자족적인 도시인가
2) 젊은 도시 동탄
3) 화성시민 대 동탄 신도시 주민
6. 과천 신도시와의 비교문화적 분석
7. 나가는 글: 지역성 연구와 신도시와의 연결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