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기후회복력 관련 도시계획수단의 우선순위 평가 : 도시기본계획 수단을 사례로

원문정보

Assessing the Priorities of Climate Resilience-Related Urban Planning Measures : Focused on the Planning Measures of City Master Plan

이영경, 김찬용, 김동현, 임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nsure proper prioritization of urban planning measures forcoping with climate change. To do this, this study categorize existing climatechange-related urban planning measures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climate resilience. After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20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climate change to prioritize the urban planning options, based on this survey results, wecan measure the relative degree of importance of each decision-making factor by applying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a result, on the first level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robustness (0.296) has the largest importance measure and recovery (0.208), response(0.199), resourcefulness (0.187), and redundancy (0.110) are followed in succession. On thethird level, Expansion of the capacity of infrastructure based on the number of populationto secure robustness shows the highest weight priority with 0.177 and Establishment of apollutants-blocking system to secure recovery has the second highest weight with 0.121. This result can also contribute to establishing urban planning policies which are copingwith climate change response and enhancing effectiveness of polic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도시계획수단의 적절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후회복력의 개념에 근거하여 세부 도시계획수단들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가지는 역할과 기능을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 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도시계획 및 환경분야의 기후변화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도시계획 정책수단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적 계층화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계층인 강건성, 중첩성, 자원력, 대응성, 복원력 중에서는 강건성이 0.296으로 가중치가 가장 높았으며, 복원력 0.208, 대응성 0.199, 자원력 0.187의 순서로 나타났다. 중첩성은 0.110으로 가장 낮은 가중치를 보였다. 계층3에 해당하는 기후변화 대응 관련 도시계획 요소 항목 중에서는 강건성 확보를 위한 인구현황에 기반한 기반시설용량 확충이 0.177로 가장 높았고, 복원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오염물질 차단관리체계 수립이 0.121로 두 번째로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기후변화와 관련한 정책 논의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정책 집행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고찰
  2.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통합적 정책단위로서의 도시계획
  2.2. 기후회복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도시계획의 수립 필요성
  2.3. 기후변화 대응 노력의 통합 관련 방법론적 논의
 3. 분석방법
  3.1. AHP 기법
  3.2 실증분석 절차
 4. 분석결과
  4.1. 평가항목의 국지적 가중치 비교
  4.2. 평가항목의 전반적 가중치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경 Lee, Youngkyeong.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김찬용 Kim, Chanyong.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김동현 Kim, Donghyun.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
  • 임업 Lim, Up. 연세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