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합창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유사언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 한국어 합창 딕션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use of Para-languages affecting Choral Communication - focused on diction of Korean choral music -

김형일

피인용수 : 2(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aimed at finding an effective use of para-languages, which are important to communicate the meaning of the korean choral music. Para-language is a nonverbal communi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livery of a more expressive language. In choral music, vocalization and diction are important para-languages. Until now, the conductors emphasized vocalization rathe than diction while focusing musical expression in chorus. However, vocalization and diction are not distinct.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choral vocalization and diction technique through the convergence of experience as conductor and knowledge of communication theory.

한국어

이 연구는 합창에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가사의 의미 형성에 핵심적인 요소인 유사언어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커뮤니케이션에서 유사언어는 언어가 가진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비언어적 요소로, 합창에서는 가사의 발성과 딕션이 대표적인 유사언어이다. 그런데 그동안은 합창의 음악적 표현을 강조하면서 발성을 중시한 나머지 딕션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함으로써 합창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가사의 의미가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합창에서 발성은 딕션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음악적인 차원에서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도 완성도가 높은 합창연주가 가능하다. 이 연구는 합창 지휘자로서의 활동 경험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한국어 합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딕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2.1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2.2 합창과 유사언어
 3. 유사언어로서의 한국어 합창 딕션
  3.1 합창 발성
  3.2 모음의 조음
  3.3 자음의 조음
  3.4 소리의 변동
 4. 맺는 말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형일 Hyung-il, Kim. 극동대학교 미디어홍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