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간의 상관성에 대한 융합연구

원문정보

Convergence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이수진, 김주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of operating room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202 operating room nurses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level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 and verbal violence impact was 1.96 and 1.67. The level of burnout was 3.08.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verbal violence experience(r=.39, p<.001; r=.41, p<.001). Verbal violence impac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r=.29, p<.001). Factors influencing burnout were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position(staff nurse) which explained 30% of the variance(F=9.15, p<.001).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erbal violence experiences of operating room nurses have influence on stability and productivity in personal, social aspect and suggest developing the verb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hospital.

한국어

본 연구목적은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수술실 간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수술실 간호사들의 언어폭력경험수준은 평균 1.96점, 언어폭력충격수준은 평균 1.67점, 소진정도는 평균 3.08점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경험수준은 언어폭력충격수준 및 소진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9, p<.001; r=.41, p<.001) 언어폭력충격수준도 소진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9, p<.001). 소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수준 및 직위(일반간호사)였으며 이들 요인은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30% 설명하였다(F=9.15,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은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안정감과 생산성을 위협하며, 의료현장에서의 언어폭력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절차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언어폭력특성 및 언어폭력 발생상황
  3.3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 정도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 정도의 차이
  3.5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정도의 상관성
  3.6 소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수진 Su-Jin Lee. 경주동국대학교병원
  • 김주성 Ju-Sung Kim.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