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research trends by investigating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from 2001 through 2015. English key words and abstracts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By the text mining technique, 183 core terms, appeared more than 30 times, were derived from 7137 words used in total 338 articles' key words and abstracts. 'Fashion' and 'desig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ate. After that, the well-received topic modeling technique, LDA, was applied to the collected data sets. Several distinct sub-research domains strongly tied with the previous fashion design field, except for topics such as fashion brand marketing and digital technology, were extracted. It was observed that there are the growing and declining trends in the research topics. Based on findings,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패션 디자인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패션 디자인 분야에 초점을 맞춘 국내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2001년 창간호부터 2015년까지 발표 논문의 주제어와 초록을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모델링 기법을 수행하였다. 우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총 338편 논문의 주제어와 초록에 사용된 7137개 단어 중 30회 이상의 출현빈도를 가지는 183개의 핵심 용어들을 도출하였다. 그 중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인 핵심 용어는 ‘fashion’과 ‘design’이었다. 다음으로 토픽모델링 기법 중 LD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20개의 연구주제를 도출하였는데 대부분 기존 패션 디자인 분야의 연구주제와 연결할 수 있었지만 패션 브랜드 마케팅 및 디지털 기술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연구주제들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별로 연도별 트렌드 분석을 통해 상승세와 하강세에 있는 연구주제를 구분하였다. 이러한 국내 패션 디자인 분야의 연구주제 및 트렌드 추이 파악은 지금까지의 국내 패션 디자인 연구 내용과 향후 방향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평가
2.1 패션분야 연구동향 분석 연구
2.2 토픽모델링 기법 활용 연구
3. 연구 방법
3.1 자료 수집
3.2 분석 도구
3.3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4.1 핵심용어 분석
4.2 토픽모델링 결과 분석
4.3 연도별 분석
5. 맺음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