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공간 (비)국민의 실태와 민권 탐구 - 홍구범 문학세계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ion of 'Marginal' Citizen's Frustration and Civil Rights Consciousness in the Post‐liberation Era - Hong Gu‐beom’s literary world

안미영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3호 2017.06 pp.263-29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Donghak novels based on Hong Gu-beom, a writer from Chungcheong-do province. Hong Gu-beom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fter the liberation, and was abducted in the Korean War. Thus his previous works were published in the post-liberation era. He published a series of novels exploring the post-liberation era civil rights. In particular, Legend, which was published in 1949, explored the spontaneous proces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centered on the Donghak movement. He showed that in a series of novels including "Legend," the commoners of the land in the Korea Empire era spontaneously opened their eyes to human rights, but were biased toward emotion. Macroscopically, due to the historical scars of Imperial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military regime, the civil rights consciousness could not grow, but internal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consciousness of commoners could not go through beyond awakening and solidarity. They were easy to be emotionally sympathetic to unreasonable conditions, but failed to develop their emotions into objective consciousness, such as being immersed in a premodern view of fate. In his incomplete long novel, "A Long Way to Go," the parents of the first generation of Donghak died in disgrace, the second generation suffered distress of being a self-made person, and the third generation showed that they could realize the civil rights through education.

한국어

이 글은 충청도 출신 작가 홍구범을 대상으로 동학 소재 소설을 분석한 것이다. 홍구범은 해방이후 등단하여 한국전쟁 때 납치되었다. 그러므로 그의 전작은 해방공간에 발표되었다. 그는 해방공간 민권을 탐구하는 일련의 소설을 발표했다. 특히 1949년 발표된 「전설」은 동학운동을 중심소재로 삼아 민권 운동의 자연발생적 과정을 탐구했다. 그는「전설」을 포함한 일련의 소설에서 구한말 이 땅의 평민들이 자연발생적으로 인권에 눈을 떴으나, 감정에치우쳐져 있음을 보여주었다. 거시적으로는 일제식민지와 미군정이라는 역사적 상흔으로 말미암아 민권의식이 성장할 수 없었지만, 내부적으로는 평민들의 의식이 각성과 연대로 나가갈 수 없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불합리한 조건에 대해 감정적 차원에서 쉽게 동질감을 형성했으나, 전근대적 운명관에 젖어 있는 등 감정을 객관적인 의식으로 발전시키지 못했다. 미완성 장편「 길은 멀다」에서는동학1세대는 불명예스럽게 죽었으며, 2세대는 자수성가의 고충을 겪었고, 3 세대에 이르러 교육을 통해 민권을 자각해 나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해방이후 (비)국민의 실태와 민주주의의 오용
 3. 동학운동, 민권의 태동과 좌절
  3.1. 봉건적 신분제의 동요
  3.2. 인권과 민권간의 거리
  3.3. 문명과 교육의 부재
 4. 동학운동 이후세대의 민권 탐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미영 Mi-young Ahn.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양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