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북한의 조선음악과 민족음악에 대한 개념사적 연구 - 일제강점기~1960년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nceptual Historical Study of “Joseon(조선) Music” and “Min-Jok(민족) Music” of North Korea - Centering on the Japanese colonial era~1960s -

배인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 meanings of the conceptual words, “Joseon(조선) music”, which refers to North Korean music, and “Min-jok (민족) music”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when the conceptual words were formed, to the period of liberation and the period after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before the formation of Juche Idea in the 1960s. The “Joseon Ak(조선악)” recognized by Ham Hwa-Jin and Seong Nak-Seo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a conceptual word that referred to only court music and literary persons' music while the “Joseon(조선) music” of Ahn Hwak was used as a term that comprehensively referred to court music and popular music, in particular, folk songs. Meanwhile, the “Min-jok(민족) music” of Kim Gwan focused on farmers’ music thereby having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term of Ahn Hwak. The “Joseon(조선) music” in the period of liberation aimed at Korean race’s music but was still inclined to court music and the “Min-jok(민족) music” mainly emphasized by musicians of Western music aimed at “the most Joseon style and the most wholesome” music that fit the establishment of a new state regime while emphasizing that a combination of Western musical elements and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was necessary. After the division of the country, North Korea needed a term to refer to new music in the newly constructed socialist system. Therefore, the term “Joseon(조선) music” that referred to music in the past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was used as a term that meant the music of the new regime,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term “Min-jok(민족) music”, which was future-oriented, accommodated the concept of classical music referring to music in the past and was used as a term involving meanings concentrated on music in the pa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a, the conceptual word “Joseon(조선) music”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word Juche music was established.

한국어

이 글은 개념사적 방법론에 의거하여 북한음악을 지칭하는 조선음악과 민족음악이란 개념어가 생성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기, 그리고 분단이후 1960년대 주체사상 형성 이전까지 개념어의 의미변천양상을 살펴본 논문이다. 일제강점기의 함화진과 성낙서가 인식한 조선악은 궁중음악과 문인음악만을 지칭하는 개념이 었으며, 안확은 궁중음악과 민중음악 특히 민요를 포괄하는 용어로 조선음악을 사용하였다. 이에 비해 김관의 민족음악은 농민음악에 집중하고 있어 안확의 것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해방기 의 조선음악은 조선민족의 음악을 지향하였으나 여전히 궁중음악에 치우쳐 있었으며, 양악계 음 악인들을 중심으로 강조된 민족음악은 새로운 국가체제 설립에 걸맞은 “가장 조선적이고 가장 건전한” 음악을 지향하되, 서양음악적 요소와 전통음악적 요소의 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분단 이후 북한에서는 새롭게 건설된 사회주의체제에서의 새로운 음악을 지칭할 용어가 필요 하였다. 이에 해방기에 과거의 음악을 지칭하던 조선음악은 새로운 체제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 국의 음악이라는 의미로, 미래지향적이었던 민족음악은 과거의 음악을 지칭하는 고전악의 개념을 수용하면서 과거의 음악에 집중한 의미를 내포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주체사상 확립 이후에는 조선음악이라는 개념어는 점차 사라지고 주체음악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일제강점기의 조선음악과 민족음악
 3. 해방 후 ~ 6.25전쟁기7)의 조선음악과 민족음악
 4. 정전협정 이후 ~ 1960년대의 조선음악과 민족음악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인교 Bae, Ihn-Gyo.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