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 내 출토 고대 유리 유물의 성분특성 분석

원문정보

Characteristic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for Ancient Glasses Excavated from the Sarira Hole of Mireuksaji Stone Pagoda, Iksan

한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and colorant materials of those us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30 glasses excavated from the Sarari hall of the Mireuksaji stone pagoda,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and other glass excavated from the Wanggungri site. The results of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11 glass beads show that they are a soda glass group with high contents of SiO2 and Na2O; these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soda-alumina groups (Na2O-Al2O3-CaO-Si2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bilizer are classified as being of the high alumina glass group (LCHA), except for two glasses. It was concluded that colorant materials affected the coloring for glass beads by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i, Mn, Fe, Cu and Pb. In addition, we examined six lead glasses which are glass plate and unknown fragments that are of a common lead glass system (PbO-SiO2) with respect to the average contents of PbO (70wt.%) and SiO2 (30w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se relics with those of the glass beads excavated by Wanggungri, there is a similarity in that they belong to the soda glass group. However, the contents of Na2O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glass beads in the Mireuksaji pagoda, and most of relics include glasses with a low content of K2O and CaO. In addition, the PbO and SiO2 contents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 lead glass. It seems that the glass relics made at two different sites may have used different raw materials or techniques.

한국어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사리공 내에서 출토된 유리 유물 30점을 분석하여 이들의 성분특성과 상관성, 발색원소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왕궁리 출토 유리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유리구슬 24점은 SiO2와 Na2O 성분을 다량 함유한 소다유리군에 속하며, 세부적으로 소다-알루미나유리계(Na2O-Al2O3-CaO-Si2O)였다. 안정제로서 Al2O3, CaO, MgO가 첨가된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LCHA(Low CaO, High Al2O3)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착색물질은 Ti, Mn, Fe, Cu, Pb 등 성분이 발색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나머지 6점은 모두 녹색계열의 유리판 또는 미상의 파편으로 PbO의 함량이 약 70wt.%, SiO2의 함량이 약 30wt.%인 전형적인 PbO-SiO2계의 납유리였다. 이들 유물을 동일 유적권인 왕궁리 출토 유리구슬의 성분과 비교한 결과, 일부 소다유리인 점은 유사하나 Na2O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미륵사지 유리 구슬이 매우 높고, 대부분 K2O와 CaO의 함량이 낮다는 점이 다르다. 납유리의 경우도 PbO와 SiO2 함량이 약간 차이가 있다. 이는 두 유적지에서 제작된 유리 유물이 서로 다른 재료 또는 기술을 이용하였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4. 고찰
 5.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한민수 Min Su Han.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