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rchaeomagnetic Study on Archaeological Sites in Jeju Region
초록
영어
A total of 16 precious archaeomagnetic dating data were obtained from various historic sites including fired soils from eight archaeological sites on Jeju Island. We researched the measurement results of 12 pieces of data from before the Common Era (BCE), and four pieces of data from after the Common Era. First, the BCE dat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B, and C)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archaeomagnetic data. By comparing the data accumulated in other parts of Korea and referring to the archaeological years, the order of the groups was as follows: A group (Bronze Age ~ Early Iron Age) → B group (Early Iron Age when the circular rim eomtodae pottery was excavated) → C group (Early Iron Age when triangulated rim jeomtodae pottery was excavated), with A group being the earliest data group and C group being the latest data group. In addition, the data after the Common Era c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archaeomagnetic dating of the archaeological sites. Through the archaeomagnetic dating of Jeju’s archaeological sites for the BCE period, the relative order of the relics was determined, and for the period after the Common Era, the absolute age of the historic sites was obtained.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diversely in the chronological study of Jeju.
한국어
제주지역 8군데 유적의 소토를 동반하는 다양한 유구로부터 16점의 귀중한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구할 수 있었다. 서력기원전 시기의 데이터 12점과 서력기원후 시기 데이터 4점을 통해 고고지자기학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서력기원전 시기는 고고지자기 데이터의 차이를 통해 A, B, C의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국내의 다른 지역에서 축적된 데이터와의 비교 검토 및 고고학적 편년을 참고하여 A그룹(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B그룹(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하는 초기철기시대)→C그룹(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하는 초기철기시대)의 선후관계를 설정할 수 있었으며, 즉 A가 가장 빠른 시기의 데이터 그룹이고 C가 가장 늦은 시기의 데이터 그룹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력기원후 시기의 데이터를 통해 고고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 연대를 결정할 수 있었다. 제주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 연대측정을 통해 서력기원전 시기에 대해서는 유적들의 상대적인 선후관계를 결정하였고 서력기원후 시기에 대해서는 유구들의 절대연대를 부여할 수 있었는데, 제주지역 편년연구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과 고고지자기 측정
2.1. 제주 삼양2동 2135-7번지 유적(Jeju Archaeological Institute, 2016b)
2.2. 제주 서귀포시 강정동 2867-17번지 유적(Jeju Archaeological Institute, 2015c)
2.3. 제주 예래동 유적(Jeju Cultural Heritage Institute, 2013)
2.4. 제주 용담2동 773번지 유적(Jeju Archaeological Institute, 2016a)
2.5. 제주 용담2동 2715-1번지 유적(Jeju Archaeological Institute, 2015a)
2.6. 제주 성읍리 유적(Haneo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2.7. 제주 이도1동 1787-3번지 유적(Jeju Archaeological Institute, 2015b)
2.8. 제주 하귀 1리 유적(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2010)
3. 측정결과 및 해석
3.1. 측정결과
3.2. 측정결과를 통한 제주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 자기 연대측정
4.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