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제무역상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일고찰 - 한국민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

원문정보

A Study on Notification and Acceptance against Assignment of Receivables in International Trade - Suggest Improvement of Korean Civil Law -

류창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ong various export financing, Assignment of Receivables is very important. Various countries make use of this method. But Korean law system have shortage of International legal system. This paper looks into Notification and Acceptance on Assignment of Receivables relation to legal system. And this paper analyze not only detail Korean civil law system about Notification and Acceptance on Assignment of Receivables but also comparative other International system. There are UNIDROIT Principles and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Assignment of Receivables in International Trade. Especially, Korean civil law system of Notification and Acceptance on Assignment of Receivables compare UNIDROIT Principles system of Notification and Acceptance on Assignment of Receivables or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Assignment of Receivables in International Trade of Notification and Acceptance on Assignment of Receivables. In the context, This paper compares Korean civil law system about Assignment of Receivables with International standard rule about Assignment of Receivables. This is good for the commercial practice party in terms of financing and receivable assignment. Thus this paper will make direction to Korean Law Operating Practicer. There are argument on method of having a action or manual about Law system.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examine revitalizing on Assignment of Receivables. And this paper deals with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ctivation.

한국어

최근 무역과 금융환경 변화로 인하여 채권의 국제적 양도와 같은 채권의 국제적 양도가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상황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채권관련 제도의 미비 및 보완할 점 등이 많은 관계로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제도적 개선방안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우리나라 민법상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개괄적인 고찰을 함으로써 현재 적용되는 제도상의 전반적인 개괄과 장단점을 알아보고,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국제상사계약원칙(PICC)과 국제채권양도협약 등의 제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국제규범인 국제상사계약원칙(PICC) 및 국제채권양도협약 등의 제도적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제도적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우리나라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개괄적 고찰
 Ⅲ.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UNIDROIT 원칙의 규정
 Ⅳ.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국제채권양도협약의 규정
 Ⅴ. 채권양도의 통지 및 승낙에 관한 한국 민법의 제도적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창원 RYU, Chang-Won. 한생컨설팅 책임전문위원, 한세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