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among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Experience -

원문정보

임금근로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와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

Gyoung Hwa Kim, Eun Kyoung Sh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elf-esteem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affects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1,002 disabled wage workers in Korea from the 7th Disabled Employment Panel Data. The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model and Sobel test revealed that the self-esteem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directly influenced on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positive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while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negatively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improving health-related status and reduc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for the disabled.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고찰하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차별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활용한 데이터는 한국장애인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7차년도 자료이다. 분석대상은 7차년도 패널조사의 등록 장애인 4,082명이며, 그 중 임금근로 장애인 1,00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간에 정(+)적으로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차별경험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간에 부(-)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금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고, 차별경험을 줄일 수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고찰
  1.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2.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매개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3.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매개하는 차별경험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3. 주요변인의 상관관계
  4.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간 주관적 건강상태와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Gyoung Hwa K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ankook University
  • Eun Kyoung Sh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ankoo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