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ession I - 일반세션 : ICT와 조직 구성, 좌장 : 채성욱(호서대학교)

업무 특성과 개인 성격의 적합도가 팀 구성원의 능동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다차항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초록

한국어

MIS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적합도 (Fit)에 대한 연 구는 계속되어 오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연구는 Task-Technology Fit (TTF) Model (Goodhue & Thompson, 1995)과 Task-Medium Fit (TMF) Model (Daft & Lengel, 1984)을 꼽을 수 있을 것이 다. TTF 모델은 IT를 의사결정의 도구로 사용하였 을 경우에 초점을 맞춘 모델이라면, TMF 모델은 IT 를 커뮤니케이션 혹은 협업의 도구로 사용되었을 경 우에 초점을 맞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 근 들어서는 IT 기술이 급 발전하고 다양한 업무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면서, 개인의 업무 상황에 적 합한 IT 도구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제는 업무와 IT의 적합도가 아닌 업무와 개인의 성 향에 대한 적합도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 에서는 팀 프로젝트를 한 학기 동안 수행한 대학생 을 대상으로 개인 성격과 업무의 적합도가 그들의 팀 내에서의 능동적인 행동 (Proactive Behavior)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기 존의 MIS 분야의 적합도와 관련된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다차항 회귀분석 (Polynomial Regression)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새 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높은 수준일수록, 그리 고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으로 대표 되는 과업 특성 수준이 높을수록 구성원들은 업무와 관련된 행동을 좀 더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시에 이러한 개인의 성격과 업무의 특 성이 모두 높은 수준에서 일치할수록, 이 적합성의 효과가 구성원들이 더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게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전개
  2.1 Job crafting의 정의 및 유형
  2.2 Job crafting에 대한 성격과 직무 특성의 주효과
  2.3 Job crafting에 대한 개방성과 직무특성의 적합성 효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표본
  3.2 변수의 측정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결과
  4.2 가설검증 결과
 Ⅴ. 결론
  5.1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사사표기
 참고문헌
 Appendix

저자정보

  • 김미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BK21PLUS 사업단
  • 백승익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경영정보시스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