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文學]

〈農家月令歌〉 창작 배경 연구 - 御時記 및 農書, 家學, 『詩名多諭』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reative background of <Nonggaworllyongga(農家月令歌)>

〈농가월령가〉 창작 배경 연구 - 어시기 및 농서, 가학, 『시명다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김형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 long work ‘Kasa(歌辭)’ of Jung, hak-you(丁學游, 1786~1855). This work is begin ‘the song of beginning(序頭歌)’ and progress from January to December in a form of ‘Worl-lyong(月令)’. It has an event, customs, manners of a farm village. A purpose of this thesis are consider the social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of a writer and scientific attitude of writer to the present age. So confirm that creative background of and the conscious side of Jung, hak-you. is a work that form of ‘Worl-lyong’ to unite with customs and farming. This work is related to an almanac and farming books of the latter period to ‘Chosun(朝鮮)’ Dynasty. Also his father Jung, yak-yong(丁若鏞, 1762~1836) is attach great importance to scientific research and practice that stand on the basis of an actual proof and investigation. So Jung, hak-you create the be due to his father’s scientific influence. And Simyungdasik(詩名多識) is a book of Jung, hak-you. He writed in twenty years old(1805). That is a book copied by hand and a four chapter in two volume. the contents are investigate and explain to name of a living thing in Si-kyung(詩經). It divide a living thing into eight. And explain of various schools that write down chapter's name and living thing's name in Si-kyung. It is influenced by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e writer’s scientific attitude is revealed to . So we can confirm to writer’s consciousness that act up to his principles scientific knowledge with experience of real life.

한국어


초록 1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는 정학유(丁學游, 1786~1855)가 지은 장편 가사작품이다. 이 작품은 서두가(序頭歌)에서 시작하여 한 해를 1월부터 12월까지로 나눈 월령 형식에, 농가에서 매월 행하는 행사와 풍속, 범절(凡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고의 목적은 당대 사회적 배경과 작가 주변의 상황 및 작가의 학술적 태도를 고찰하여 정학유가 <농가월령가>를 창작하게 된 배경을 확인하고, 그가 월령 형식을 통해 표출하고자 했던 의식의 일면을 확인하는 데 있다. <농가월령가>는 풍속과 농사가 월령 형식으로 결합된 가사작품이며, 이는 풍속과 농사의 측면에서 조선후기에 활발하게 편찬된 세시기(歲時記) 및 사찬(私撰) 농서(農書)와 연관성이 있는 작품이다.또한 부친인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평소 실증과 고증에 기반한 학술활동과 실천을 중요시했는데, 그 자식들에 대한 학문적 영향력에 의해서 아들인 정학유가 <농가월령가>를 창작하였다고 보았다.한편, 시명다식(詩名多識)은 정학유가 20세 되던 해인 1805년에 완성한 4권 2책의 필사본이다. 그 내용은 시경(詩經)에 등장하는 생물의 이름을 고증하여 해설한 것인데, 시경 각 장의 편명을 적고, 등장하는 생물을 8개 분야로 나누어 역대 제가(諸家)의 설명과 자신의 견해를 붙였다. 이러한 작가의 고증적 학문 태도는 다대(多大)한 물명(物名)이 등장하는 <농가월령가>를 통해 발현되었기 때문에 학문적 지식을 실생활의 경험과 접목시켜 실천코자 했던 작가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I. 머리말
 II. 조선후기 세시기 및 사찬 농서의 영향
 III. 실증적ㆍ고증적 가학의 영향
 IV. 정학유의 저술 [시명다식]의 영향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태 Kim, Hyung-Tae. 연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