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ase Study on the effects on the health of the Chinese family life satisfaction - Based on the Qingdao residents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ported measure of the health of families in China, Korea, health of the famil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amily Health castle was used as a measure of Korea (yuyoungju). This study is a family health scale validation study of home economics in South Korea was applied in China (Qingdao region). The generalization of the concept of family health was attempted. Effective research factors in the health of families in South Korea, China, and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can be a factor in the Chinese life satisfaction. Famil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family members to form a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family centered health care organization, and health activities appropriate to perform an important function. Depending on the health of family factors, life satisfaction research on the impact of gender factors in health (health of family, family esteem and Jewish consciousness, thanks and affection, emotional values, shared goals, role enhancement, problem solving skills, economic stability, kind) in Qingdao, China on the basis of human subjects were analyzed. Measure of health of South Korea’s family translated into Chinese adults in Qingdao, China with 196 people surveyed Korea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health of the family of the scale factor at the time of development, consistent with the structure factors were confirmed to hav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health education, income level, number of children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and family health outcom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level is higher sex health, showed that fewer children will be a higher level of health of the family. Effects also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any other variable income or family health sex man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 with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factors affect the health of the family. Family health of this study with demographic variables have a lot of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confirmed the point. This study i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family health healthy measure of home, such as South Korea, whi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health research to assume that enacted the Act should apply to the (family health Castle) Chinese became meaningful data. This study is a meaningful survey data by applying to the Family Health Scale Chinese in Korea. I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people through this research. In addition, the Chinese immigrant women in turn, benefits were provided an opportunity to live satisfying and healthy family life in Korea. Therefore, further study is based on the measure of family health study in Korea and hope that the Chinese people can be satisfied in a more healthy home life forms in progress.
한국어
가족은 사회조직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써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양육되며 개개인의 고유한 성격, 인품을 지니게 되는 인간 형성의 근원적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족은 가족구성원들의 상 호작용을 통해 건강을 형성하며,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가족의 적절한 건강관리를 조직하고 건강 활동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가정학연구 중 한국에서 타당화가 검증된 가족건강성 척도(유영주)를 중국(청도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가족건강성 개념의 일반화를 시도하였으며 한국에서 연구된 가족건강성 요인이 중국에서도 유효하고, 중국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 다는 가정에 근거하였다. 설문지는 한국의 문헌적인 고찰을 중심으로 작성되었으며 중국인에게 조사 실 시하였다. 가족의 건강성요인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로 건강성 요인(가족건강성, 가 족 존중감, 유대의식, 감사 애정, 정서 가치관, 목표공유, 역할충실, 문제해결능력, 경제적 안정)을 바탕으 로 중국 청도사람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한국의 가족건강성 척도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 청도 지역의 성인 1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의 가족건강성 척도 요인과 일치되는 요 인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적일치도 검정을 통하여 개별요인들로 구성된 문항과 전체 문항이 신뢰도가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족건강성과의 분석을 통하 여 교육수준, 소득수준, 자녀의 수가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교육수준과 소 득수준이 높아질수록 가족건강성의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 수는 적을수록 가족건강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족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으로는 남자이거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은 다른 모든 변인보다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건강성의 요인으로 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는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감사와 애정, 정서는 생활만족도 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척도인 가족건강성를 중국인에게 적용하여 조사한 의미있는 자료이며 이를 통해 중 국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건강한 가정생활로 만족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다른 세부 가족건강성 요인 과 생활만족도와의 관련 요인에 관한 것을 제안해 본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2.1 가족건강성
2.2 생활만족도
2.3 중국가정의 현황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문제와 측정
3.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4 자료분석
3.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Ⅳ. 연구의 분석결과 및 해석
4.1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의 중국인 가족건강성 척도 적용 타당성
4.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
4.3 인구사회학적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
4.4 조사대상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인구사회학적변인, 가족건강성이 미치는 영향력
Ⅴ. 결론
5.1 연구결과의 요약
5.2 연구의 제한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