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영향 요인

원문정보

Determinants of National Identity among North Korean Refugees

김희진, 유호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national identity of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male and female North Korean adult refugees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were aged between 20 and 69.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05 respondents were analyzed. Since probability sampling was impossible to d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fugees, snowball sampling was utilized, which is convenience sampling. A sense of belonging as a Korean was defined as national identity in this study, and the selected variables were inputted in three stages by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stage of Model 1,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 the North, education level in the South,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regular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in religious practices were inputted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Model 2, self-rated global health level and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 were inputted as personal awareness variables along wi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Model 3, which was the full model, experience of public welfare service usage,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South were inputted as experience variables in the South along wi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personal awareness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ge(β=.171, p<.05) and regular religious practices(β=.117, p<.01) were identified in Model 1 as the variable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national identity. Like in Model 1, age(β=.137, p<.05) and regular religious practices(β=.107, p<.05)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at in Model 2, and self-rated global health level and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 that were additionally inputted as the major variables in stage 2 affected it in a positive way as well. In Model 3, which was the full model that every selected variable was inputted into, national identi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age(β=.145, p<.05) out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β=.286, p<.001) out of the personal awareness variables, and of welfare service usage (β=.114, p<.05),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β=.171, p<.001)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β=-.177, p<.001) which were all the experience variables in the South. Age,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South, welfare service usage and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impact on national identity,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experienc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that. Finally, a stronger sense of belonging to the South were found in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had a more intention to settle down permanently in the South, who made more diverse use of welfare services and who had more trust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eir national identity weakened when they felt they had more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Sou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national identity based on β values,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South,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age and public welfare service usage. When it comes to the way of looking at the nation, North Korean refugees may be more sensitive than any other racial group, and the shifts of social environments are likely to throw them into confusion in regard to national identity. They kept receiving cramming ideological education from their childhood, and they were consequently bound to take a blind view of state without carefully thinking over it, asking any questions or having any critical mind about it, and their national identity was built just a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tended. So it seemed hard for them to build new identity under fast-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Furthermore, they were repeatedly exposed to strange and disadvantageous environments as they moved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hey might have been confused about their own national identity nor felt relieved at any place. Helping North Korean refugees to build a firm national identity will be conducive to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outh Korean people and supporting organizations should do to facilitate the resettle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as South Korean nationals with a sense of belonging was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에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20~69세의 북한이탈주민 중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05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상 확률표집이 불가능하므로 편의 표집 중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정체성의 개념을 한국 의 국민으로서의 소속감으로 규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세 단계로 변수들을 투입하였 다. 첫 단계인 Model 1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서 성별, 연령, 북한학력, 남한학력, 월수입, 결혼여부, 규칙적 종교활동여부를 투입하였고, Model 2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함께 개인 인식변수로서 주관 적 건강수준과 남한 영구정착 의향을 투입하였으며 Full Model인 Model 3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 개 인 인식변수와 함께, 남한에서의 경험변수인, 공공복지서비스 이용경험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 그 리고 남한에서의 차별 경험을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Model 1에서는 국가정체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 치는 변인으로 연령(β=.171, p<.05)과 규칙적 종교활동(β=.117, p<.01)이 확인되었다. Model 2에서는 Model 1에서와 같이 연령(β=.137, p<.05)과 규칙적 종교활동(β=.107, p<.05)이 모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2단계 주요변수로서 추가로 투입된 주관적 건강수준(β=.130, p<.01)과 남한 영구정착 의향 (β=.292, p<.001) 역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한 모든 변수가 투입된 Full Model인 Model 3을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연령, 개인 인식변수에서는 남한 영구정착 의향, 그리고 남한에서의 경험변수에서는 복지서비스 이용정도,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 그리고 차별 경험이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β=.145(p<.05), 남한 영구정착 의향은 β=.286(p<.001), 복지서비스 이용정도는 β=.114(p<.05),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 β=.171(p<.001)로 나타나서 국가정체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차 별 경험은 β=-.177(p<.001)로서 국가정체성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 Model의 분석결과는, 연령이 높을수록, 남한 영구정착 의향이 있는 사람일수록, 보다 다양하게 복 지서비스를 이용했을수록,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남한사회에의 소속감, 국가정체성이 강 해지고 남한에서의 차별경험이 많다고 느낄수록 국가정체성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β 절 대값을 기준으로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를 비교해 보면, 남한 영구정착 의향이 가장 크고 다음이 남한에서의 차별경험,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 연령, 공공복지서비스 이용정도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다른 어떤 민족 집단보다도 국가에 대한 생각에 있어 예민할 수 있으며 사회적 환 경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국가정체성의 혼란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릴 적부터 경험한 반복 적이고 주입적인 사상교육으로 인해 자율적인 고민과 충분한 질문 및 비판의 과정 없이 맹목적인 국가 관, 당이 만들어준 국가정체성이 내면에 자리잡았기 때문에 급변하게 돌아가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새로 운 정체감을 획득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더구나 국가 간을 이동하면서 그들에게 생소하고 불리한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다 보면 어느 나라가 내 울타리인지 혼란스럽고 어느 곳에서도 안심하지 못했을 것이 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이 안정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도록 개입하는 일은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 는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으로 들어와 이 나라 국민으로서 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가지고 정착하는 데에 남한 정부가, 지원 단체가 그리고 남한 국민이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국가정체성
  2.2 해외 거주 북한이탈주민 현황
  2.3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혼란
  2.4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과 영향변인
 Ⅲ. 연구방법
  3.1 조사방법
  3.2 변수 및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2 주요변수별 특성
  4.3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4.4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영향요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진 Kim, Hee Jin. 고려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연구교수
  • 유호열 Yoo, Ho Yeol.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