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네스코 창조도시 연구 - 유럽문화수도와 고베의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UNESCO Creative cities - Focus on European capital of culture and KOBE -

이승권, 노진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ountry’s competitiveness hinges upon its cities’ competitiveness. Up until the emergen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cities have managed to preserve their quintessential characteristics ; however, with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the cities’ development has been drawn by a capitalistic logic. Through the combined pressure of demographic grow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cities have required capital to pave the way for their development. Due to the fact that the weight of history and traditions has been outshined by the urge for capital, public policies have come to the fore as a means of harnessing and managing the cities’ latest evolutions. While the rise and fall of cities is inevitable, we must avoid the destruc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herent to our cities. A city revitalization means selecting its most valued, representative cultural items and adapting them to a modern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creative city designation, the UNESCO has contributed to foster the renovatio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UNESCO launched the Creative Cities Network programme in order to protect their cultural ressources. In South Korea, there are also cities affiliated to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or applying to obtain such a label. For instance, Busan for its film festival and Gwangju, which is currently building an Asian cultural hub based on arts and media to boost the creative industries’ potential not only in Gwangju but also in the Jeollado province. Both cities will soon become affiliated to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But what are the actual reasons why so many countries strive to receive the honorific UNESCO creative city label? And what kinds of cities are seeking this recognition by the UNESCO? The UNESCO’s creative cities programme originated in the European cultural capitals, which have strengthened the links among themselves thanks to cultural exchanges and activities. This model has spread to Arab and American cities before reaching the shores of Asia. The present author has been searching for successful illustrations of cities preparing for the UNESCO affiliation as creative city in the Far East as well as cultural capital in Europe.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e RUHR-GEBIET region is examined as a cultural capital in Europe while Kobe –which was named UNESCO city of design in 2008- is analyzed as a creative city. I will consider how Japanese cities, which have similar urbanization processes with ours, have been selected as creative cities and how they manage them. As regards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program, it is very much similar to the policies of cultural capitals in the European Union, which aims at bringing together politics and economics through culture. The desig- nation of the Ruhr-Gebiet region as a European cultural capital in 2010 epitomizes this theory. The line of thoughts pursued by the author is that the success of the RUHR region can be followed as a model for Gwangju and Jeollado since they have similar roots. Although recently Gwangju and its surrounding regions have undergone an administrative separation ; culturally speaking, they still share a common heritage and idiosyncrasy whose symbolic backbone is the Yeongsan river. Gwangju being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Jeollado, it can work as the driving force of the creative industries’ field for the surrounding regions. Indeed, Gwangju is currently managing the East Asia Cultural City programme while preparing for the cultural hub for Asia and applying at the UNESCO for joining the Creative Cities Network. The present author do not share the view that the three above mentioned projects will only benefit Gwangju, but on the contrary, they will als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surrounding regions. Finally, as for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we will try to identify the optimal conditions for becoming a creative city as envisioned by the UNESCO and a European cultural capital, which has turned a model for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Drawing on this analysis, we will then elaborate a new model partly inspired by the littoral creative city of Kobe and the regional cultural hub of the Ruhr-Gebiet. However, Gwangju being an inland city with a distinct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we will provide a model representative of these characteristics while compatible with a broader Asian Cultural City framework.

한국어

21세기는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을 견인하는 시대이다. 초기의 도시문명이 도시의 본질을 고려한 개발이었다면 산업화 이후에는 자본주의 논리에 매몰된 도시개발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도시는 자본의 논리에 의해 작동될 수밖에 없다. 산업혁명 이후 급격한 인구의 증가와 과학기술의 발달 은 도시의 중요성을 배가시켰고, 자본이 요구하는 도시를 탄생시켰다. 이러한 도시에서는 도시의 역사적 공간을 보존하기 보다는 자본이 요구하는 공간을 확보하는데 정책의 우위를 두게 된다. 그 결과 도시의 형태가 변화되었고 많은 역사문화유산이 사라졌다. 오늘날까지 다양한 형태의 도시가 등장했다가 사라 졌지만 인류 문명의 보고인 도시의 파괴적 개발은 지양되어야 한다. 유네스코는 도시의 문화적 자산을 공유하고자 창조도시 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사업을 시작하였다. 유네스코는 이 사업을 통해서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우리나라에도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 크에 가입한 도시가 있다. 2010년에는 서울시와 이천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 각각 디자인 (Design), 민속공예(Craft and Folk Arts) 분야에 가입하였다. 2012년에는 전주가 음식(Gastronomy)으 로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였다. 이들 도시는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계기로 한국의 디자인, 민속공예, 음식 등의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세계의 다양한 도시들과의 네트워 킹을 통해서 세계의 문화를 공유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이 사업은 2004년 10월 문화다양성을 위한 국제연대사업(Global Alliance for Cultural Diversity)의 일환으로 시작된 사업이다. 유네스코는 문화발전 의 핵심적 요소인 창조성에 주목하고, 각 도시의 문화적 자산과 창의력에 기초한 문화산업 육성과 도시 들 간의 비경쟁적인 협력을 통해서 회원국 도시들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장려하고 유네스코 가 추구하는 문화다양성 증진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등을 목표로 세웠다. 현재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 크에 가입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의 도시들이 많다. 부산은 영화(Cinema)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 업을 진행하는 광주는 미디어 아트(Media Art)를 주제로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준비하고 있다. 유네스코 창조도시 프로그램은 문화를 통해서 유럽의 통합을 이끌고자 하였던 유럽 문화도시 정책을 모델로 한 것이다. 유럽 문화도시 모델이 아랍과 아메리카를 거쳐 대한민국에 당도하였다. 광주는 미디 어 아트 분야의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신청을 하여 1차 심사를 통과한 상태이다. 이러한 노 력의 일환으로 2014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지정을 받기도 하였다. 광주는 호남의 중심으로 광주와 전남북 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광주와 전남을 지칭하기도 한다. 최근에 행정구역이 구분되기 는 했지만 광주와 전남은 다른 듯 같은 지역적 특성을 가진 곳이다. 무등산과 광활한 평야, 유유히 흐르 는 영산강을 공유하고, 문화적 공감대가 있는 지역이다. 타 지역에 비해 수준 높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문화예술프로젝트(국립아시아문화전당)가 진행되는 곳이다. 현재 이곳에서는 2014 동아 시아문화도시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개관을 한다. 연구자는 광주에서 벌어지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동아시아문화도시, 유네스코 창조도시 등의 사업이 광주만의 사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들은 광주와 전남이 유리되어 있다. 이러 한 점에서 에센을 중심으로 광역권 문화도시를 건설하는데 성공한 루르지역은 전남을 배후로 가진 광주 가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루르지역 은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유럽문화도시 사업을 진행하였지만 각각의 도시 특성을 배척하지 않았다. 이 러한 사례는 광역권 문화도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종속을 우려하는 소도시 시민들의 우려를 불 식시키기에 좋은 사례이다. 또한, 내륙에 위치한 광주가 동아시아문화도시의 한국적 모델을 제시해야 한 다는 점에서 바다를 배경으로 한 고베의 창조도시 사례가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 고베는 천재지변을 겪고 도시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시민들의 연대가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2008년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에 크게 기여하였다. 고베시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결정하고 전문가와 시 민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였다. 디자인 창조도시 건설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교육기관을 설치하고 이들의 성과물을 도시디자인에 활용함으로써 시민의 자긍심을 키워주었다. 시민들로 구성된 마치즈쿠리를 통해서 창조도시 건설에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시민들의 창의성을 자극하였다. 고베 시가 가장 역점을 둔 정책은 문화도시의 시민이 가져야 할 시민의 문화적 역량, 즉 문화적 리터러시 (literacy)를 향상시키는 일이었다. 고베시는 시민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 하였는데, 고베시가 시도한 가장 대표적인 사업은 시민들이 좋은 디자인을 자주 접하게 하는 것이었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시민의 문화예술 향유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이 사업은 디자인 창조도시 의 성공을 이끌어낸 가장 중요한 사업이었다.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기를 희망하는 대한 민국의 도시들, 특히 광주전남 지역의 도시들은 성공한 도시들의 특성을 잘 살펴서 지역의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연구자는 유네스코 창조도시와 유럽 문화수도가 21세기의 아시아문화 도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판단하고 루르지역과 고베시의 사례를 통해서 광주전남의 문화도시들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유럽 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의 의미
 Ⅲ. 유럽 문화수도 사례: Ruhr-Gebiet
 Ⅳ.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Creative Cities Network, CCN)란 무엇인가?
 Ⅴ. 유네스코 창조도시 사례: “Design City KOBE”
  5.1 마치 디자인
  5.2 생활 디자인
  5.3 마치즈쿠리 디자인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권 Lee, Seungkwon. 조선대학교 프랑스어과/문화학과 교수
  • 노진자 Noh, Jinza. 조선대학교 문화학과 박사과정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