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럽과 아시아의 문화적 연대를 위한 공감의 글쓰기 - 전쟁 기억과 아동(兒童) 표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mpathetic Writing for a Cultural Solidarity between Europe and Asia - In the context of Memories of War and Children Representation -

최성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new cultural alignment through Asian and European writing and ultimately seek the prospects of empathetic writing which associates the idea of a mutual political and economic partnership. It is an important responsibility of ours as international citizens to explore the cause to international and civil warfare. Within the threats of massive capitalism and market crisis, the view to imagine Asia as a supranational space reflects the desire for a new collective community at a time when world history is undergoing change. There has been a common notion regarding juvenile literature dealing with war. At times, the child, the pure carrier of experience, within the institutional boundaries of scholastic education served as a medium for realizing a modern national ideology. The identity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war cannot be explained simply as part of a social structure.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spectre and ideological ghosts that summon such fantasies actually enables us to realize the ‘lack of subject’. In fact, the child in European and Asian literature urges one not only to rebuild the inherent propensity of nature but also the meaning of family, institution and community generally applied in the world of adulthood. And accordingly, we are able to see the violent rawness of reality exposed through war and fundamentally question what absolute value actually is. Research on the child speaker in European and Asian literature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foundation to confirm where empathetic writing that contemplates war and peace through literary texts stands. Asian and European solidarity should be started from the cultural consensus. Each other to form a consensus of the literature. War and children is particularly important target. As it was mentioned before, the child in Asian literature dealing with war creates a fissure in existing representations or in other words the subject as substance eventually derives into a new meaning from the point of existential fissure. Such Asian literature is not about validating self-identity (of State, race etc.) through war experience. It can actually expand into a shared text of supranational introspective experience. I believe that juvenile representation research through Asian and European literature on memories of war can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racing these clues.

한국어

문화와 경제, 정치적인 여건이 다른 유럽과 아시아의 문화적 연대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연대의식을 함께 공유하기 위한 출발점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이에 대해서 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공통적인 문제의식은 각국이 처해있는 역사, 문화적 이질성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 공존하는 평화적 연대를 구현하려는 노력에 모아져 있다. 아시아 와 유럽이 세계시민이 추구하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과 역사적 경험에 있어 서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현실적 대안들을 모 색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아시아와 유럽의 공통 경험으로서 전쟁과 관련하여 문학 주제학적으로 하는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쟁을 배경으로 한 아동 소재 문학 작품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통념이 작용해왔다. 순수한 경험의 담 지체로서 아동은 학교교육이라는 제도적 틀 속에서 근대적 국가이념을 실현하는 매개가 되기도 했고, 전 쟁 이후에는 반공주의적 이념을 애국심으로 표방하는 경험의 전달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어른들로 표상되는 강압적인 국가주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아동의 표상은 지금까지 근대, 발전론을 비판하는 시 각에서 논의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전쟁을 경험한 아동의 정체성은 그렇게 단순한 사회적 구성물로서 설명할 수 없다. 오히려 아 동들은 상식적이고 지배적인 고정관념을 내면화하기도 하지만, 그 틈사이의 환상을 가로질러 만들어진 정체성의 틈 사이를 벌려 놓기도 한다. 환상이란 감추어진 억압된 사물의 외상으로 가득 차 있다. 이런 환상을 불러내는 망령(spectre), 이데올로기의 유령을 통해 오히려 ‘주체의 결핍’을 실감하게 된다는 사실 도 중요한 것이다. 사실 유럽과 아시아 문학에서 아동은 자연적인 섭리의 고유함과 뿐만 아니라 전쟁이 지배하는 어른 세계의 가족, 제도, 공동체의 의미를 재구하게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쟁이 드러내는 현실의 거칠고 폭력적인 모습을 통해 절대적인 가치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을 갖게 하는 것이다. 유럽과 아시아 문학에 서 아동 화자에 관한 연구는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전쟁과 평화를 사유하는 글쓰기의 공감대가 어 디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전쟁을 배경으로 한 아시아 문학에서의 아동은 만들어진 표상에 구멍을 내는 것, 다시 말해 주체로서의 실체란 결국 궁극적으로는 존재론적 균열의 지점에서 새로운 의미로 파생된 다. 이러한 연구는 전쟁경험을 통한 자기 동일성(국가, 민족들)의 확인이 아니라 초국가적인 차원에서 반 성적 경험을 공유하는 텍스트의 확장을 통해 아시아와 유렵의 지역성을 넘어서 인류 공동체로서의 나가 야할 길이 무엇인가를 인식하게 한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연대를 위한 공감의 글쓰기는 바로 이와 같은 경험 공동체로서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기존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Ⅲ. 연구방법 및 이론
 Ⅳ. 본론
  4.1. 인정과 연민의 공동체, 구성되는 아동의 기억
  4.2. 전쟁의 참혹함과 아동의 비동질적 자아형성
  4.3. 환상을 가로지는 ‘부정적인 주체’로서의 아동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최성실 Choi Sungsil. 가천대학교 글로벌 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