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文化]

세종 영릉신도비명의 체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format of ‘Sejong Yongnung-sindobimoung’(an inscription on a tomb-stone)

홍현보

동양고전학회 동양고전연구 제25집 2006.12 pp.323-34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maining texts are not the same as the original inscription in its format. So, I'd like to infer the original format from the king Taejong's sindobimoung(an inscription on a tomb-stone). First, headline. It is likely that the headline consisted of 'siho(諡號), kugho(國號), myoho(廟號) and jonho(尊號)' in order. Second, system of the inscription. Taejong's sindobimoung consists of 36 lines, each of them has 115 characters. There are three types of outdentation and 15 times in all. Third, spacing words. There are three types in separating words. Fourth, format of writing the author. Fifth, date of erecting Sejong's sindobi(a tomb-stone). The date was on July first year of king munjong reign. '景泰二年七月 日立石' Sixth, numbers of line and character. The number of all the sindobimoung(an inscription on a tomb-stone) is presumed 4,985.

한국어

지금 전하는 영릉신도비명의 원문들은 그 본래의 글과 체제를 그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지금 남아있는 태종 신도비명(탁본)를 본보기로 삼아 원형을 유추코자 한다. 첫째, 세종 신도비의 제목은, 시호, 국호, 묘호, 존호를 이어 붙여 유추할 수 있다. 둘째, 태종 헌릉신도비명의 형식을 보면, 전체 36행이고 3자 내어쓴 곳부터 한 행은 115자로서, 내어쓰기 체재는 3자, 2자, 1자 등 3종류로 모두 15번 내어 썼다. 이 15회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의도적으로 끊어서 내어쓴 것이고, 하나는 행 끝부분에서 띄어써야 할 글자가 나오면 어쩔 수 없이 내어쓴 것이다. 의도적인 내어쓰기는 7번이었고, 어쩔 수 없이 내어쓴 것은, 정안군(1자 내어쓰기), 전하(2자 내어쓰기), 천자(3자 내어쓰기), 불상(1자 내어쓰기), 존호(2자 내어쓰기), 전하(2자 내어쓰기), 황증조(1자 내어쓰기), 아버지(1자 내어쓰기) 등 8가지로서 이들 앞 문장은 빈 공간이 없다. 셋째, 띄어쓰기 형식이다. 태종 헌릉신도비명(탁본)을 보면, 하늘(天)과 황제(皇帝, 帝), 황제로 해석되는 단어(睿恩)는 3자 띄어쓰기를 하였고, 2자 띄어쓰기한 단어는, 우리 임금, 왕비, 종묘 사직, 이씨, 유훈과 황제의 고명, 석(錫), 사(賜), 서울(명) 등이었으며, 1자 띄어쓰기한 단어도 정리하였다. 넷째, 비명의 지은이를 어떻게 적었는가 하는 것이다. 지금 남아 있는 비명 글이 ‘겸성균대사성신정인지’이므로, 이를 토대로 당시 정인지의 직함을 합치어 유추해 본다. 그리고, 안평대군의 직함은 따로 적지 않고 ‘안평대군신용봉 교서’로만 적었을 것으로 본다. 다섯째, 세종 신도비는 지장통기에 ‘문종 원년(신미) 7월’이라 하였으니, 신도비에는 ‘景泰二年七月 日立石’라 하여 마지막 문장으로 기록하였으리라 유추해 본다. 여섯째, 행과 글자의 수이다. 지금 신도비에 남아 있는 글씨를 참조하여 태종 헌릉신도비명의 체제에 따라 정리하여 재구성하여 본다.

목차

<논문 요약>
 I. 서론
  1. 글의 목적
  2. 영릉 신도비명에 대한 기록
  3. 앞선 연구와 자료
 II. 본론 : 현존 자료 분석
  1. [열성지장통기]의 '영릉신도비명'
  2.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세종 영릉신도비명' 및 번역문
  3. 태종 헌릉 신도비
  4. 태종 헌릉신도비명 탁본 자료
  5. [열성지장통기]의 태종과 세종의 신도비명 비교
  6. [태종실록]의 헌릉신도비명 기록
  7.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태종 헌릉신도비명
  8. 태종 헌릉신도비명(탁본)  체재 분석
  9. 세종 영릉신도비명의 단어 분석과 대입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현보 Hong, Hyeon-Bo.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